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lti-Community Spatial Media
이보아 ( Lee Boa ) , 이현성 ( Lee Hyunsung ) , 김주연 ( Kim Jooyun )

(연구 배경 및 목적) 미디어의 빠른 진화와 기술 확장에 따라 현대 사회 환경은 무엇보다 매체에 대한 바른 이해와 올바른 사용이 강조되고 있다.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세상 인식 방식을 바꾸어 놓았고 사회 문화와 시공간에서의 의식과 행위 양식에 영향을 주었다. 미디어의 활용도가 높은 공공공간인 복합커뮤니티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와 발전된 양상을 선행연구된 문헌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미디어의 현재 상황을 파악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미디어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시대 변화와 발전에 따른 미디어에 활용 현황과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기본 자료를 토대로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범위) 연구 대상은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미디어를 적용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의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동향을 분석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미디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복합커뮤니티 공간과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개념을 파악한다. 또한 빅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복합커뮤니티 공간 미디어와 연관된 단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처리 분석을 통한 최근 1년 간 포털 사이트 네이버, 다음, 구글, 트위터, 유튜브 플랫폼의 사용 키워드를 분류한다.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단어 활용 용어 빈도에 대한 동향을 파악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적용과 관련성이 낮거나 중복되는 자료는 제외한다. 각각 분류와 분석 기준을 선정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통한 수량 변화와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된 자료 내용의 유형과 성격의 분류를 통하여 동향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2000년 이후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연구된 논문을 176편을 살펴본 결과 연도별 2016년 이후에 활발한 연구가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관한 복합연구로 문헌연구와 사례, 조사연구 실증연구가 복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분야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통해 미디어 관련 연구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신문방송학 분야 연구 빈도가 높았으며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는 건축도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관하여는 복합문화 공간과 커뮤니티 시설 공간의 연구가 많은 논문 편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 선호도 조사가 많은 빈도수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연구가 그 뒤를 이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와 관련하여 연구한 동향과 최근 1년간의 포털 사이트 5곳의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를 도출하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공공공간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는 미디어를 이해하는 방식이 오늘날 첨단시대에 맞추어 디지털미디어에 집중되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이해가 중요하다.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수단인 미디어가 상황과 조건에 맞게 제공되며 환경과 인간이 미디어를 통한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apid evolution and technological expansion of media, the correct use of media is emphasized in the modern social environment above all els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which is a public space in which media is used, are examined through the studied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Through research that considers the usability of media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a complex community space, the current status and availability of media use in the media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imes are examined. Based on these basic data, we inte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media use of the complex community space for subsequent research and prepare basic data. (Method) The subject of the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that applied media to the complex community space.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definition of media and the concept of media in complex community spaces and complex community spaces are identified. In addition, through data pre-processing of portal sites on complex community space media based on big data, the current status is identified through keyword analysis and derived results through data collection of Naver, Daum, Google, Twitter, and YouTube over the past year, and the trend of media use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is identified through platform data analysis of five portal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and flow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research contents. (Results) As a result of looking at 176, an active study of the composite communication space was found that the activ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research method,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research method and investigation method. When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a lot of frequency of satisfaction and related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related to the phenomenon. (Conclusion)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by deriving keywords based on media-related research trends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since 2000 and big data from five portal sites over the past year. In research on the use of media in public spaces, there is a strong phenomenon that the method of understanding media is concentrated on digital media in line with today's high-tech era. It is important to have a correct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media. It is hoped that the media, which is the core means of communication, will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and that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d humans can smoothly interact through media will be conducted widely.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류기준에 따른 연구동향 분석
5.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