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39.236.144
3.139.236.144
close menu
KCI 등재
숏폼 광고가 MZ세대의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hort-Form Advertising on the Product Purchase Intention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이윤표 ( Lee Yun Pyo ) , 김노아 ( Kim No A ) , 정무현 ( Jeong Mu Hyeon ) , 정소윤 ( Jeong So Yun ) , 조혜원 ( Cho Hye Won ) , 황승준 ( Hwang Seung June )
DOI 10.34183/KCSMA.26.1.1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숏폼 광고 시장의 성장과 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과 같은 인기 플랫폼에서 숏폼 광고가 MZ세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광고의 대중성, 정보성, 직관성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MZ세대가 오락적 요소보다 유익한 정보를 더 중시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숏폼 광고에서 소비자 참여 요인과 태도는 상호작용과 방해 요인 순으로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광고가치와 소비자 태도는 모두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광고 메시지가 소비자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광고 제작자들은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MZ세대가 숏폼 광고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이는 주류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에서 MZ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는 디지털 마케팅 및 광고 산업에 대한 더 광범위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ansion of the short-form advertising market and its repercussio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illennials and Gen Z cohorts. It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hort-form advertisements on popular platforms like YouTube, Instagram, and TikTok on the purchasing decisions of these generational groups. Findings highlight that the appeal, informativeness, and user-friendliness of advertisements are crucial. This suggests that Millennials and Gen Z place a higher value on practical information over entertainment. Furthermore, within the realm of short-form advertising, consumer engagement and attitudes are significantly shaped by interaction and interference, with both the perceived value of the advertisement and consumer attitudes positively impacting buying intentions. Crucially, it's essential for advertising messages to align with consumer expectations and needs, requiring creators to produce content that captures consumer interest and fosters favorable impressions. This research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response of Millennials and Gen Z to short-form advertising, offering guidance for enhancing online marketing strategies aimed at these groups across various industries. Moreover, th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pave the way for broader investigations into digital marketing and the advertising sector.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실증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