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는 현장 실험연구로서, 집단 음악활동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충청남도에 있는 초등학교의 3학년 중 두 학급을 표집해서 실험집단(N=20)과 비교집단(N=22)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2022년 5월 17일부터 7월 15일까지 9주에 걸쳐서 한 회기당 40분씩, 총 18회 집단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이를 실시하지 않았다. ‘초등학생용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직전과 직후에 스트레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 27.0에 의해 공변량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한 결과, 집단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친구 스트레스와 교사 및 학교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효과가 있으나, 학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앞으로 초등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주기 위해서 집단 음악활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ield experimental study to explore whether group music activities are effective in reducing the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classes among the third graders of a school in Chungcheongnam-do were sampled and arranged in an experimental group (N=20) and a comparative group (N=22). A total of 18 group music activity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40 minutes per session for 9 weeks,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 and not in the comparative group. Using the ‘Elementary School Daily Life Stress Scale’,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tested through analysis of covariance by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friend stress and teacher stress, but not in reducing study stres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group music activities will be activated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