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전투기 세대구분 정교화에 관한 연구 - 6세대 분류기준 정립과 4.5세대와 5.5세대 세분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cise Segmentation of Fighter Generation - Focusing on Establishment of 6th Generation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egmentation of 4.5th and 5.5th Generations -
임상민 ( Sang-min Lim ) , 박재찬 ( Jae-chan Park )
UCI I410-151-25-02-091435441

전투기 세대 분류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제트전투기들을 개발시기와 몇몇 기술적 특징에 의해 구분하는 방법으로 엄격한 이론적 배경없이 이미 개발된 기종을 사후적으로 분류하는 틀로 활용되어 왔다. 1990년대 초 호주 공군의 교육용 자료에서 비롯된 전투기 세대구분은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기준이 아니라 전투기의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구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구체적으로 속도(아음속/초음속), 임무 능력(공대공, 공대지, 멀티롤), 무장, 전자장비와 같은 기준들이었으며, 세대를 거듭할수록 관련기술이 모두 향상된 것이 아니라 일부 분야에서는 이전세대 보다 오히려 퇴보한 사례가 존재하는 점, 특정세대로 분류된 기종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기존 세대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점, 그리고 20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6세대 전투기의 분류를 위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점등으로 인하여 기존 전투기 세대구분 방법의 한계가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모든 전투기에 적용될 수 있는 합리적 분류의 틀을 제공하기 위해 전투기 개발의 4대 영역인 기체/형상, 추진, 항공전자, 무장의 4가지 영역별로 전투기 세대구분을 위한 기술들을 분류한 뒤, 각 영역별기술의 수준을 가늠하기 위하여 전투효과도를 기준으로 한 관련기술의 발전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주요 선진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동향을 조사하여 이전세대 전투기들과 차별화되는 요소들을 추출한 뒤, 새로운 세대를 추가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였으며,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기존 세대보다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는 기종의 경우 세대를 세분화함으로써 더욱 정교화된 전투기 세대구분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분류법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6세대 전투기의 분류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였으며, 기존 4세대에서 발전된 4.5세대와 아직 등장하지 않았지만 5.5세대의 세분화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스웨덴, 한국의 주요 기종을 새로운 전투기 세대구분 모형을 적용하여 실제로 분류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이며 포괄적인 전투기 세대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World War II, the classification of fighter aircraft generations has developed into a concept that considers various factors, including development period and technological level, with the advent of the jet fighter era. Originating in the early 1990s from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Australian Air Force, the generation classification framework outlined that a shift in generation is warranted wh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nnot solely be attributed to incremental performance enhancements. Complex classifications exist, such as the 4th, 5th, and 6th-generation concepts, which are delineated not by strict theoretical constructs but rather by a few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ignificant fighters from specific eras. Recognition of limitation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has emerged as certain modern fighters do not necessarily surpass all capabilities of prior generations. Additionally, upgraded variants of existing classified fighters struggle to be reclassified under this paradigm. This paper seeks to refine the existing model by integrating contemporary trends,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advanced 6th-generation fighters from leading aviation nations, and establishing new classification criteria. The anticipated outcome is a more sophisticated and universally applicable analytical framework tailored to all jet fighters, transcending the constraints of current generation models. The categorization of fighter aircraft by generation emerged in the post-WWII era, focusing on jet fighters development, and was later influenced by marketing, military requirements, and national aviation projects. Previous research primarily emphasized technical specifications, leading to challenges in classifying subsequent generations and calling for combat effectiveness in the classification. As nations venture into 6th-generation fighter developments, there is a need to scrutinize technological benchmarks essential to identify these advanced fighters. Various generation theories highlight the particular attributes defining fighter generations.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criteria such as speed, multirole capabilities, stealth, and agility played crucial roles. With the development of 6th-generation fighters, new trends emerged, emphasizing long-range, payload, survivability, and advanced avionics. By reviewing the progression trends in major components―airframe, propulsion, avionics, and weapon systems―of 6th-generation fighters, we discern a notable shift in innovation. The proposed classification underscores pivotal breakthroughs such as stealth, adaptive cycle engine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rected energy weapons. This study establishes clear criteria for classifying 6th-generation fighter aircraft and recognizes the potential for segmenting prior-generation fighters by incorporating advanced technology from newer generations. While definitive, the research acknowledges its limitation in the absence of a quantitative combat effectiveness assessment, suggesting future empirical classification studies as these fighter technologies evolve further.

Ⅰ. 서 론
Ⅱ. 기존 연구 및 연구방법
Ⅲ. 6세대 전투기 세대구분의 기준
Ⅳ.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