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안보리더십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s of Security Leadership
김유천 ( Kim Yu Cheon ) , 이송이 ( Lee Song Yi )

본 연구 목적은 안보리더십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안보리더십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안보와 리더십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안보리더십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기존 안보리더십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논의를 하고, 새로운 안보리더십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리더십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안보리더십이 무엇인지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새로운 안보리더십으로 ‘통합적 안보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통합적 안보리더십(Integrated Security Leadership)’은 첫째, 단순한 합을 의미하는 포괄적 안보리더십 이상의 리더십이며, 둘째, 안보의 개별적 측면과 전체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며 상호 작용하도록 하며, 셋째, 다양한 안보 및 포괄적 안보를 위하여 안보 리더십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리더십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안보 리더십 관련하여 학문적으로 기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보 및 리더십에 관한 종합적인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둘째, ‘안보리더십’이라는 개념과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사회의 안보 리더십 역량을 준비하는데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셋째, ‘통합적 안보리더십’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함으로서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security leadership through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he security leadership. To this end, we discussed what is security and leadership.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ecurity leadership paradigm, we have discussed what is the existing security leadership, and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new security leadership. Finally, we tried to suggest what the new security leadership is through consideration of changes in leadershi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integrated security leadership” is needed as a new security leadership. “Integrated Security Leadership”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s leadership beyond comprehensive security leadership, which means simple summation. Second, the individual and overall aspects of security are considered and interacted simultaneously. Third, it is an integrated security leadership that can exert synergy effects of security leadership for various security and comprehensive security. The academic contributions related to security leadership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security, a integrated perspective was provided in addition to basic research on existing and new security.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cept and changes of “security leadership”, a basic framework was suggested for preparing the security leadership competency of society. Third, by providing a new paradigm of “Integrated Security Leadership,” it provided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안보와 리더십
Ⅲ. 안보리더십의 패러다임 변화
Ⅳ. 통합적 안보리더십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