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연구의 목적은 화예디자인에서 생화 디자인 상품만으로는 비즈니스가 어렵기에 화예를 디지털 콘텐츠로 접근해 화예콘텐츠 개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현시점은 디지털 매체의 사용성이 중요해지면서 디지털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다양한 표현법의 새로운 원천이 되고 있기에, 연구를 통해 화예디자인이 가진 콘텐츠를 반영한 디지털 콘텐츠를 연구함으로써 화예산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화예디자인의 개념과 현재 진행되는 화예비즈니스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화예시장현황을 살펴보았다. 화예디자인을 생화기반 화예디자인과 콘텐츠기반 화예디자인 두 종류의 상품들을 바탕으로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화예콘텐츠 요소도출을 진행하였다. 연구한 이론적 배경과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꽃이 갖고 있는 콘텐츠를 형태, 색감의 시각적 요소와 향기의 후각적 요소, 꽃이 갖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인 관념적 요소로 나누어 정리하여, 이를 연구의 방향성 설정에 참고하였다. 연구에는 화예콘텐츠 중 시각적 요소로 한국식물생태보감의 화형 분류법으로 나눠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패턴으로 전개할 문양은 왕관형인 수선화, 투구형의 투구꽃, 설상의 데이지를 선정한 후 모티브로 제작하여 합성수지 인쇄에 강한 디자인 패턴으로 개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완성된 화예디지털콘텐츠의 플로럴패턴 디자인 인쇄를 통해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악세서리로 사용하는 케이스 3점을 화예디지털콘텐츠를 통한 인쇄물 상품으로 개발하였다. 현재 국내의 화예시장은 주로 생화를 주로 이용하는 화예디자인들을 사용하고 있기에, 연구를 통한 화예디자인의 디지털 매체의 사용은 표현방법의 확장과 예술로서의 품질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화예디자인의 디지털 구조화에 대한 접근방법의 중요성 인지와 함께 화예 콘텐츠를 이용한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loral content by approaching floral art as a digital content, as it is difficult to do business in floral design with only fresh flower design products. At present, as the usability of digital media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digital contents are becoming a new source of various expressions, so we aimed to contribute to the flower art industry by studying digital contents that reflect the contents of flower art design through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flower market through the concept of flower design and a review of the current flower business.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cases based on two types of products, fresh flower-based floral design and content-based floral design, and derived floral content element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studies, we divided the contents of flowers into visual elements of form and color, olfactory elements of scent, and ideological elements of meaning and symbolism, and used them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In the study, we selected crowned daffodils, helmet-shaped helmet flowers, and snow daisies as patterns to be developed into patterns among the images divided into the flower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Korean Plant Ecology and Ecology Bureau, which is a visual element among the flower art contents, and developed them into design patterns that are resistant to synthetic resin printing. Since the domestic flower market is currently using flower designs that mainly use live flowers, the use of digital media in flower design through research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expanding the expression method and changing the quality as an art,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approach to digital structuring of flower design and inform the need for design development using flower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