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5.92.96
3.145.92.96
close menu
KCI 등재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teachers’ AI·digital competencies
허희옥 ( Heeok Heo ) , 서정희 ( Jeonghee Seo ) , 임규연 ( Kyu Yon Lim ) , 임경희 ( Kyung-hee Lim ) , 이현우 ( Hyeon Woo Lee ) , 강신천 ( Shinchun Kang )
DOI 10.15833/KAFEIAM.30.2.497

본 연구는 교사의 AI를 포함한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수행되어 온 디지털 기술의 활용과 관련된 교사 역량 연구를 종합하여 AI·디지털 역량으로 재구조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우선,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예비·현직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체계에 포함된 공통역량과 선행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여 역량 초안을 구성하였다. AI·디지털 기본, AI·디지털 교육 실행, 전문적 참여의 3개 영역 및 하위 역량, 행동지표로 구성된 초안에 대해 10명의 전문가와 7명의 현직 교사가 내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활용 행위 수준, 사용 맥락 또는 과제의 복잡도 수준을 고려하여 6개 수준을 나타내는 척도를 개발하여 전문가와 교사의 검토를 거쳤다. 수정된 행동지표 및 평가 척도를 타당화하기 위해 수도권과 경남지역 교사 801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검사를, 경북권, 호남권, 충청권의 교사 772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자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후자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검증하여 최종 척도를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국의 교사 1,432명을 대상으로 3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개발한 척도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기존 타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3차에 걸친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3개 영역, 9개 역량, 30개 행동지표 및 관련 행동 예시로 구성된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및 측정 도구는 향후 교원의 AI·디지털 활용 교육에 대한 역량 측정과 교육요구도 파악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teachers’ capabilities i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including AI.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synthesizes existing studies on teachers’ competencies related to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and restructures them into AI and digital competencies, developing a tool to measure these competencies. Initially, a draft of the competencies was formul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mmon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AI and digital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proposed in prior research. The draft comprised three areas and their respective sub-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e content validity of this draft was reviewed by 10 experts and 7 in-service teachers. Alongside, a scale representing six levels, considering the level of utilization behavior, context of use, or complexity of tasks, was developed and reviewed by experts and teachers. To validate the instrument, preliminary tests were conducted with 801 teacher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772 teacher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stly, another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with 1,432 teachers nationwide, and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verified by analyzing its correlation with existing tools. Through three rounds of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consisting of three areas, nine competencies, 30 behavioral indicators, and related behavioral examples, were established.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AI and digital technologies in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