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만성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의 발목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균형 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of Ankle Proprioceptive Position Sense and Balance Ability in Adul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임나단 ( Lim Na-dan ) , 이동희 ( Lee Dong-hee ) , 김태규 ( Kim Tae Gyu )
DOI 10.24826/KSCS.13.3.1
UCI I410-151-25-02-091420904

연구목적 본 연구는 Chronic Ankle Instability(CAI)를 가진 개인의 발목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총 30명의 CAI를 가진 성인을 불안정성 설문지(Ankle Instability Instrument, AII),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분류 설문지(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dFAI), 발목 불안정성 도구(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를 사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고 CAI를 가진 쪽의 발목관절 고유수용성 위치감각 측정인 Passive Joint Position Sense(PJPS), Active Joint Position Sense(AJPS)와 균형 능력 측정인 안정성 지수, 흔들림 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CAI를 가진 성인의 발목관절 고유수용성 감각과 전체 안정성 지수, 전·후 안정성 지수, 내·외 안정성 지수 모두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CAI를 가진 성인의 발목관절 고유수용성 감각과 전체 흔들림 지수, 전·후 흔들림 지수, 내·외 흔들림 지수 모두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CAI를 가진 성인의 발목관절 고유수용성 위치감각과 균형 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Purpose This study purport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nkle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in individuals with CAI and provide a basi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for CAI. Methods A total of 30 adults with CAI were selected using the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AII),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dFAI), and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In addition, Pasive Joint Position Sense (PJPS) and Active Joint Position Sense (AJPS), which are measures of ankle joint proprioceptive position sense on the side with CAI, and stability index and sway index, which are measures of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and their correlations analyzed. Results Ankle joint proprioceptive position sense in adults with CAI was not correlated with overall stability, anteroposterior stability, and internal stability, 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nkle joint proprioception in adults with CAI was not correlated with overall sway, anteroposterior sway, and internal sway, 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ankle joint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in adults with CAI.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