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이야기 수집가’로서 유아 교사의 반성적 성찰과 경험
A kindergarten teacher’s reflective introspection and experience as a ‘story collector’
이지은 ( Lee Ji-eun ) , 최연철 ( Choi Younchul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토대로 유아들이 주체가 되어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야기 수집가’로서의 교사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자는 2023년 3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19주 동안 만 5세 유아 14명과 함께 이야기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동영상 촬영 및 이야기 녹음을 통한 참여 관찰, 유아 면담, 연구자 저널 작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당일 전사하여 분석하였고 유아들이 만든 이야기를 시간순과 개별 유아별로 정리하여 재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는 유아들의 이야기 속 창조를 위한 파괴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변화하는 대상이 교사임을 깨달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궁금한 것을 교사가 질문하고 유아가 대답하기, 유아가 초대하고 교사가 방문하기를 통해 교사와 유아의 역할이 바뀌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가 만든 이야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반성적 성찰과 경험이 교육적 실천의 변화와 성장을 가져다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가 이야기를 통해 주도적으로 배움을 발견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유능한 존재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teachers as ‘story collectors’ that emerged during the process of children taking the lead in creating stories based on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 ‘storytelling time’ conduc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torytell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fourteen children aged five for 19 weeks from March 20th to July 28th, 2023.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using video and story audio recordings,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journal writing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daily and analyzed chronologically on individual children and their meaning was interpreted through a process of reexamin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er came to accept destruction for creation in the children’s stories, realized that the teacher was the subject of change, and had the experience of seeing things ‘as they are’. In addition, the teachers and children experienced changing roles through the teacher asking questions and the children answering, and the children inviting and the teacher visiting. These research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eachers’ reflective introspection and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stories created by children bring about changes and growth in educational practice. It also suggests that children are capable beings who can discover learning and grow on their own through stor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