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빗물침투저류블록 설치 최적지 선정을 위한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Flooding and Overflow Simulation Technology for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Block Placement
김성표 ( Kim Seongpyo ) , 류정림 ( Ryu Jungrim ) , 김호진 ( Kim Hojin ) , 최희용 ( Choi Heeyong ) , 이태규 ( Lee Taegyu ) , 최형길 ( Choi Hyeonggil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양극화된 기후 패턴으로 인한 침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해결책이 빗물 침투저류블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기존 프로그램의 한계점으로 드론 기술과 결합된 새로운 기능이 필요함을 제안하며, 저류조 기능을 가진 빗물침투저류블록의 최적 설치 장소 선정을 목표로 하는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에 대한 실험 및 평가를 진행한다. 실제 빗물침투저류블록이 실시공된 지역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DEM과 DSM을 통한 기존 프로그램과의 비교, 침수 ·범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현장 적용성 검토의 2개 항목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침수·범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빗물침투저류블록의 설치 시 최적지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ddresses the escalating flood damages prompted by recent climate shifts characterized by extreme weather events and proposes rainwater infiltration blocks as a potential solution. Recognizing the limitations inherent in existing inundation simulation methods, we advocate for the integration of novel functionalities, particularly leveraging drone technology. Our research endeavors encompass experimental assessments of inundation and flooding simulation technologies. These evaluations are conducted within areas where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blocks have been implemented, juxtaposed against existing programs utilizing Digital Elevation Models(DEM) and Digital Surface Models(DSM).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and a meticulous scrutiny of the adaptability of inundation and flooding simulation to real-world deployment scenarios, we ascertain the efficacy of the simulation program as a decisionmaking tool for identifying optimal sites for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block installation.

1. 서 론
2. 침수 · 범람 시뮬레이션 기술의 개발
3. 침수 · 범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검증
4. 결 론
요 약
Funding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