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중세 연대기에 나타나는 자연의 징조와 정치적 변동 -시주베르 드 장블루의 카롤루스 제국 시대사 편찬을 중심으로-
Natural Signs and Political Shifts in Sigebert of Gembloux’s Chronicle Concerning the Carolingian Empire Period
이혜민 ( Lee Hye-min )
학림 vol. 53 271-306(36pages)

이 논문은 기이한 자연 현상과 자연재해에 대한 다수의 기록을 담고 있는 베네딕투스회 수도사 시주베르 드 장블루의 『연대기』를 특히 카롤루스 제국 시대 서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주베르는 사료를 정리해서 보편사로 편찬하면서 정치적 사건과 자연재해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이러한 저술 방식에는 정치적 함의가 내포되어 있다. 특히 그는 873년에 발생한 혈우, 메뚜기 떼, 기근을 제국의 황위가 동프랑키아 왕국으로 이전되는 기점으로 강조한다. 특히 그는 동프랑키아 왕국에서도 기근이 발생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침묵하면서, 서프랑키아에서 인구의 3분의 1이 메뚜기 떼의 창궐 이후 발생한 기근으로 사망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그는 신의 뜻이 서프랑키아 왕국을 떠났으며, 제국의 연속성과 제권의 정당성이 궁극적으로 동프랑키아로 이전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도원의 연보들이 자연의 재앙 및 내전과 바이킹의 침략 같은 인간사의 재앙이 궁극적으로 인간이 저지른 죄악에 대한 신의 분노 때문에 일어났다고 생각했고 그러한 관념에 따라 연보나 연대기를 기술했다면, 시주베르는 이 자료들을 활용하면서도 제국의 역사라는 큰 틀에서 인간사와 자연사를 서로 얽어서 배치하면서 정치적인 해석을 개입시키고 있다. 그가 자연 현상을 정치와 얽어서 제시하는 방식에는 동프랑키아의 정통성 및 더 나아가 잘리조의 정통성을 강조하려는 정치적인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ronicle compiled by a Benedictine monk Sigebert of Gembloux (c. 1030~1112) by examining its rich accounts of numerous peculiar natural phenomena, particularly pertaining to the Carolingian Empire era. In his compilation of historical narratives, Sigebert weaves together political incidents and natural catastrophes, implying politic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Notably, he emphasizes natural disasters such as the blood rain, locust swarms, and famine in 873 as natural omens foreshadowing a significant political transition: the transfer of the imperium to the East Frankish kingdom. Adhering to the medieval monastic religious tradition, Sigebert explicitly presents his political interpretations of various historical events. While medieval monastic historians typically attribute natural calamities and human disasters, such as the Carolingian Civil War and Viking raids, to divine retribution in their historical works, Sigebert extraordinarily infuses his accounts with political insights. Thus, he intertwines human and natural histories within a broader perspective of imperial history. The way in which he intertwines natural phenomena with historical events carries significant political implications, reinforcing the legitimacy of the East Frankish kingdom, and by extension, that of the Salian dynasty.

1. 들어가는 말
2. 중세의 역사 서술과 자연 현상의 기록
3. 카롤루스 대제부터 로타리우스 1세까지
4. 제권 이전의 징조:873년의 메뚜기 떼와 기이한 자연 현상
5. 에필로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