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건강보험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충청남도 지역 환자의 특성에 따른 관외 의료이용과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Patient Characteristics of Chungnam-do and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Using Health Insurance Cohort DB 2.0
이영준 ( Yeong Jun Lee ) , 명세현 ( Se Hyeon Myeong ) , 문현우 ( Hyun Woo Moon ) , 우서현 ( Seo Hyun Woo ) , 김선정 ( Sun Jung Kim )

연구배경: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충청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입원 및 외래 환자들을 통해 도내 진료권을 분석하고, 수도권 및 대전권 의료기관에 대한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파악하여 도내 의료전달체계 개선 및 건강보험 재정 안정 도모를 위한 충청남도 의료정책 사업의 근거적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보험 코호트 DB 2.0 2016-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원시 자료 중 환자의 거주지가 충청남도 지역이면서, 이용한 요양기관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인 환자로 한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570,439건(입원=43,309, 외래=2,527,130)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먼저,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변수별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외 의료기관 이용에 따른 입원 및 외래 환자의 진료 1건당 의료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심사결정 후 건강보험 총요양급여비용을 자연로그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대전권, 수도권 순으로 의료기관을 많이 이용하였고, 입원 및 외래 환자 모두 천안, 아산 거주환자들에 비해 모든 권역에서 관외 의료기관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공주, 부여, 천안(odds ratio [OR], 72.931) 및 계룡, 논산, 금산(OR, 116.817) 거주 입원 환자는 대전권 의료기관 이용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의료기관에 비해 수도권(외래=17.01%, 입원=22.11%)과 대전권(외래=16.63%, 입원=15.41%) 의료기관에서 더 많은 의료비를 지불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의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분석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지역 의료기관과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및 만족도와 환자의 주진단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료의 지역화와 의료공급 효율성 및 건강보험 재정 건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ngcheongnam-do patients. We aimed to provide evidence of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enhance the healthcare delivery system in Chungcheongnam-do. Methods: We used the Health Insurance Cohort DB 2.0 of 2016–2019, and 2,570,43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and each patient characteristic.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medical costs and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area.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32.2% of inpatients and 12.5% of outpatients had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in Chungcheongnam-do. In comparison to patients living in Cheonan and Asan, the odds ratio (OR) for external medical services use was higher across all regions. Specifically, hospitalized patients from Gyeryong, Nonsan, and Geumsan (OR, 116.817) and Gongju, Buyeo, and Cheongyang (OR, 72.931) demonstrated extremely high likelihood of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in the Daejeon area. Furthermore, compared to medical expenses incurred within Chungcheongnam-do, patients with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in the capitol area (outpatient=17.01%, inpatients=22.11%) and Daejeon area (outpatient=16.63%, inpatients=15.41%) spent more on healthcare service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e evidence of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among Chungcheongnam-do patients.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aking into account variables including satisfaction of local medical services, different types of patient diseases, and others. The study’s findings may serve as a foundation for policy proposals aimed at ensuring the financial stability of our health insurance system, ensuring the efficient delivery of medical care, and localization of medical care.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이해상충
감사의 글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