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과 직접교수를 활용한 TouchMath 중재가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수감각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uchMath Intervention Using Point-of-View Video Modeling and Direct Instruction on the Number Sense Performanc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유도현 ( Yoo Do Hyun ) , 김은경 ( Kim Eun Kyung )
DOI 10.33770/JEBD.40.1.14

이 연구에서는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과 직접교수를 활용한 TouchMath 중재가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수감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특수학교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자폐성 장애 학생 1명이었다. 연구 설계로 과제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과 직접교수를 활용한 TouchMath 중재이다. 중재는 주 5회 실시하였으며, 수감각 수행의 과제는 수 세기, 빠진 수 넣기, 수량 변별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과 직접교수를 활용한 TouchMath 중재를 통해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수 세기, 빠진 수 넣기, 수량 변별 수행이 향상되었다. 둘째,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과 직접교수를 활용한 TouchMath 중재를 통해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수 세기, 빠진 수 넣기, 수량 변별 수행이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1인칭 관점 비디오모델링과 직접교수를 활용한 TouchMath 중재는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수감각 수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uchMath intervention using point-of-view video modeling (POV) and Direct Instruction (DI) on the number sense performanc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participant was one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ttending the special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tasks was applied to the research design and it proceeded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was TouchMath intervention using POV and DI.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5 times a week. The tasks of the number sense performance were rational counting, finding the number between two numbers, and numerical magnitude judg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TouchMath intervention using POV and DI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number sense performanc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maintained in the follow up phase. The TouchMath intervention using POV and DI positively affects the change of the number sense performanc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