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태권도 생활체육인 및 전문체육인의 부상 실태 및 안전 인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궁극적으로는 추후 태권도 생활체육인 및 전문체육인의 부상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2019 스포츠 안전사고 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태권도 생활체육인 220명과 전문체육인 313명에 대한 총 5개 항목(스포츠활동 참여 실태, 부상 부위 및 유형, 부상 원인, 부상 발생 전후 상황, 스포츠 안전 인식), 16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SPSS ver. 26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다중 반응 분석, 이원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국내 태권도 생활체육인 및 전문체육인 모두 발목 부상 비율이 각각 28.6%, 24.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인의 경우 상반신(18.6%), 발(14.5%), 무릎(10.9%) 순으로 확인되었고, 전문체육인의 경우 손(15.0%), 발(12.5%), 무릎(10.2%)순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인의 부상 유형은 발목 통증(34.9%), 발목 염좌(34.7%), 발목 좌상(20.9%) 순이며, 전문체육인은 발목 염좌(41.3%), 무릎 통증(40.9%), 손가락 골절(34.2%)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문체육인은 경력 기간이 높아질수록 발목 부상 위험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태권도 생활체육인 및 전문체육을 대상으로 부상 실태 및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스포츠 부상 안전사고 예방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에는 태권도 종목 안전사고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Purpose Despite the high prevalence of Taekwondo injuries across player level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se injuries remain incompletely understood, particularly in recreational players compared to elite athlet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injuries among recreational and elite players.
Method A Safety Accident Survey was conducted in 2019, with 313 Taekwondo elite players and 220 Taekwondo recreational players participating. The survey comprised 16 questions covering sports participation, injury types, causes, circumstances, and perceptions.
Results Ankle sprains emerged as the most prevalent injury regardless of player level (recreational players: 28.6%, elite players: 24.0%). Among recreational players, upper body (18.6%), foot (14.5%), and knee (10.9%) injuries were more common, while hand (15.0%), foot (12.5%), and knee (10.2%) injuries predominated among elite players. The most prevalent injury types in recreational players were ankle pain (34.9%), ankle sprain (34.7%), and ankle strain (20.9%), whereas ankle sprain (41.3%), knee pain (40.9%), and finger fractures (34.2%) were the top three in elite players. Among elite players, the risk of ankle injuries increased with the career period of Taekwondo competition. 67.3% of participants reported attending sport safety education sessions, with the primary reason for non-attendance being a lack of educational institution information.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eek strategies for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Taekwondo spor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