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편백 용기묘의 묘령에 따른 생장 및 양분 흡수 특성
Seedling Age Effects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Chamaecyparis obtusa Container Seedlings
정덕교 ( Deokgyo Jeong ) , 백경원 ( Gyeongwon Baek ) , 김춘식 ( Choonsig Kim )
DOI 10.14578/jkfs.2024.113.1.31

편백은 우리나라 남부지역 대표적 조림 수종으로 2-2 용기묘의 조림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편백 용기묘의 묘령(1-0, 2-0, 2-1, 2-2묘)에 따른 엽면적비, 묘고(H)/근원경(D)비, 지상부 건중량(T)/뿌리 건중량(R)비, 묘목 품질지수, 양분흡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엽면적비는 1-0묘가 30.48 ㎠ g-1로 가장 크고 묘령이 증가함에 따라 28.62 ㎠ g-1에서 23.59 ㎠ g-1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D율은 1-0묘가 4.4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2-1묘 7.17, 2-2묘 8.35, 2-0묘 9.05 순이었다. T/R율은 1-0묘가 4.29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2-1묘가 2.1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묘목 품질지수는 1-0묘 0.10, 2-0묘 0.51, 2-1묘 2.54, 2-2묘 3.06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편백 용기묘의 잎, 줄기, 가지, 뿌리 등의 탄소 농도는 묘령의 증가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양분흡수 특성 중 시비를 실시하지 않은 2-1묘의 잎 질소 농도는 0.85%로 시비를 실시한 타 묘령의 잎 내 질소 농도 1.25~1.88%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잎의 질소 농도와는 대조적으로 인, 칼륨, 마그네슘 농도는 시비가 실시되지 않았던 2-1묘에서도 농도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아 이들 양분의 무시비에 대한 반응이 질소보다 크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편백 용기묘의 묘령에 따른 생산 기준 설정이나 적정 생육을 위한 양분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ur seedling age classes age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nutrient uptake in Chamaecyparis obtusa container seedlings. Seedlings (1-1, 2-0, 2-1, and 2-2 seedlings) of C. obtusa grown in containers were harvested to measure specific leaf area, height (H)/root collar diameter (D) ratio, dry mass of aboveground (T)/root dry mass (R) ratio, and seedling quality index of seedlings. The specific leaf area was highest in 1-0 seedlings (30.48 ㎠ g-1), whereas it decreased (from 28.62 ㎠ g-1 to 23.59 ㎠ g-1) with increasing seedling age. The H/D ratio increased with increasing seedling age (from 4.41 in 1-0 seedlings to 8.35 in 2-2 seedlings). The T/R ratio decreased as the seedling age increased (from 4.29 in the 1-0 seedling to 2.13 in the 2-1 seedling). The seedling quality index increased with increasing seedling age (from 0.10 for the 1-0 seedling to 3.06 for the 2-2 seedling). The carbon concentrations of seedling components (leaf, branches, stem, and roo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seedling age, whereas the nitrogen concentration of seedling components was the lowest in 2-1 seedlings, as no fertilizer was applied to discourage excessive growth of the seedlings. Phosphorus, potass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in 2-1 seedling components were not affected by the lack of fertilizer application.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u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management by seedling age in container- grown C. obtusa.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