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광은 측정이 간편하고 해석의 직관성이 높다는 점에서 생화학 기반 분석법의 신호로서 강점을 가진다. 흡광을 가지는 물질 중에서 금 나노입자는 화학적 안정성, 생물학적 친화성, 가시광선 범위에서 야기되는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에 의한 독특한 광학적 특성 등의 유용한 성질을 지니며, 특정 표적 물질에만 유효한 다른 발색물질과 비교해 항체나 압타머 등 다양한 검출 활성물질과 접합이 용이하여 확장성을 가진다. 특히, 기질의 산화로 발색을 야기하는 효소 기반 발색법에 비해 낮은 가격, 쉬운 입자 합성, 높은 환경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비색화 분석법의 신호물질로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이와 같은 금 나노입자를 신호물질로 활용하는 다양한 전략을 최근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였으며, 입자의 형태에 광학 특성이 영향을 받는 금 나노입자의 특징에 착안하여 신호생성 시에 활용한 금 나노입자의 형태 제어 전략을 기준으로 문헌들을 분류하고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미 오랜 기간 활용되어온 금 나노입자가 현재에도 흡광 신호물질로서 여전히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는 사실을 고찰하고, 향후에도 광범위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될 여지를 가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Light absorption has potential as a signal in biochemical analyses due to its simplicity in measurement and interpretational clarity. Among substances that generate absorption signals, gold nanoparticles possess advantages such as chemical stability, biological compatibility, and unique optical properties from the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in the visible light range. They also exhibit versatility compared to other colorimetric substances effective only for specific target molecules, as they easily conjugate with various detection active substances like antibodies and aptamers. Particularly due to advantages such as low cost, ease of particle synthesis, and high environmental stability compared to enzyme-based colorimetric methods, gold nanoparticles are extensively researched as signal substances in colorimetric assays. This review summarizes various strategies utilizing gold nanoparticles as absorption signal substances, focusing on recent researc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old nanoparticles, where the optical property is influenced by particle morphology, literature is classified and reviewed based on strategies controlling the shape of gold nanoparticles during signal generation. Through this, it is observed that gold nanoparticles, which have been used as absorption signal substances, continue to be actively researched, affirming their potential for broad and continuous improvement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