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을 적용한 식음 공간
A Study on the Food and Phonetics Using Surrealist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정다영 ( Dayeong Jeong ) , 윤수인 ( Suin Yoon )

본 연구는 식음공간에서 나타나는 초현실주의 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현대사회는 다원화와 세분화를 통해 복합적인 경향을 띄게 되었다. 따라서 소비형태 욕구 역시 감성을 자극하는 소비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실내공간들을 개성화하고 차별화시켰다. 특히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며 변화에 민감하고 문화와 휴식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변화된 식음 공간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이 시도되고 있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 고찰을 통해 초현실주의에 대해 살펴보고 식음공간에서 표현된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실내공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은 비정형성, 시각적 유희, 무의식적 욕망으로 표현되는 추상적 표현특성, 형태적 왜곡과 낯선 병치로 표현되는 형상적 표현특성, 탈 스케일과 비일상적 오브제로 표현되는 상징적 표현특성으로 나눌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food and beverage space using surrealistic expressive features. Modern society has developed a complex trend through diversification and segmentation. Thus, the need for consumption patterns has also changed to emotional consumption, which has made interior spaces individualized and differentiated. In particular, marketing is being attempted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the food and beverage space, which is changed to a multi-purpose space that is sensitive to change and can handle culture and relaxation at the same time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looked at surrealism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heory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ic expressions expressed in the eating and drinking spaces. As a result, the surrealistic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at can appear in the interior space through prior research have been identified as unstructured, visual entertainment, abstra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expressed by unconscious desire, geometric representation expressed by form distortion and strange illness, and symbolic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expressed as departure scales and non- routine objects.

1. 서론
2. 식음공간의 정의 및 개념
3. 초현실주의 이론고찰
4. 실내공간에서 초현실주의 표현특성 선행연구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