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에 대한 장애학생의 인식 및 요구
Perceptions and Deman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he National Disability Student e-Festival
김동규 ( Dong-kyu Kim )
DOI 10.34262/kadd.2024.28.1.12

본 연구는 특수학교(급)에 소속된 장애학생들이 가장 큰 규모로 참가하는 전국 단위의 정보화 행사인 전국장애학생 e페스티벌(이하 ‘e페스티벌’)에 참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통해 e페스티벌 운영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e페스티벌에 참가한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e페스티벌에 대한 인식, 실태, 만족도, 개선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는 빈도분석과 t-test, 교차분석(X²)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학생들은 e페스티벌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e페스티벌을 알게 된 경로는 ‘학교 선생님의 권유’, 참가한 이유는 ‘흥미’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e페스티벌 참가하고 싶은 종목으로 정보경진대회는 ‘SW코딩, 로봇코딩’, e스포츠대회는 ‘스포츠(신체활동) 종목’이 가장 높았으며, 참가에 어려운 점으로 ‘연습 파트너 부족’이 가장 높았다. 둘째, 장애학생들은 e페스티벌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e페스티벌 대회별 신규로 개설되기를 희망하는 종목으로 정보경진대회는 ‘동영상 제작 종목’, e스포츠대회는 ‘메타버스 기반 종목’이 가장 높았다. 대회 참가학생 지원 사항으로 ‘종목선택권 확대’, 학교현장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으로 ‘생활연령을 고려한 종목 개선’을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운영 및 참가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activation of the National Disability Student e-Festi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e-Festival'), a nationwide information technology event, which is the largest of its kind participated in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filiated with special school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7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Festival, focusing on their perceptions and demands related to the e-Festival, including awareness, current status, satisfaction, and areas for improvement.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s, and crosstab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hibited an awareness of the e-Festival at a level above average. The most common source of awareness was 'recommendation by school teachers,' and the primary reason for participation was 'interest.' Furthermore, when asked about their preferred categories for participation, 'SW coding and robot coding' ranked highest in the Information Contest, while 'sports (physical activity) categories' ranked highest in the e-Sports Contest. The most frequently cited challenge in participation was 'lack of practice partners.' Seco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generally expressed positive satisfaction with the e-Festival. They expressed the highest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new categories such as 'video production' in the Information Contest and 'metaverse-based categories' in the e-Sports Contest. Regarding support for participating students, the highest response was for 'expanding category choices,' and for improvements to promote school participation, 'improvements considering the students' age and developmental stage' received the highest response.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for the operation and enhancement of the National Disability Student e-Festival have been provided.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