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haracter Traits on Learning Persistence :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심경옥 ( Kyungok Sim ) , 한미경 ( Mikyung Han )
한국과 세계 vol. 6 iss. 2 139-158(20pages)

본 연구는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 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따라 다르게 조절되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학업지속성에 대한 인성역량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기이해, 공감능력, 공정성, 협동심, 그리고 인권의식이 높을수록 학업지속성이 높았다. 특히, 협동심은 학업지속성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이었다(약 6.2% 설명). 이들 결과는 협동심에 중점을 둔 인성교육이 학업지속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회복탄력성이 높을 때는 자기이해가 높을수록 학업지속성이 증가한 반면, 회복탄력성이 낮을 때는 학업지속성은 자기이해 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이 결과는 높은 수준의 회복탄력성은 학업지속성에 대한 자기이해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지속성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aracter traits ha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an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are moderated by resilienc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se traits to the prediction of learning persistence also tes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 self-understanding, empathy ability, fairness, a sense of cooperation, and human rights awareness predicted high learning persistence. In particular, a sense of cooperation was a primary predictor of learning persistence, accounting for 6.2% of vari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cooper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learning persistence. With regard to moderating effect, at high level of resilience students with high self-understanding had greater learning persistence, whereas the learning persistence did not differ by the level of self-understanding at low resilie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 high level of resilience can maximize the effect of self-understanding on learning persistenc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persistenc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