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온라인 매장의 제품 시각 디스플레이 타입에서 지각된 공간감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고령층 대상의 국/찌개류 제품 중심으로 -
A Study of Perceived Spaciousness in Product Display Visualization Types in Online Markets and Its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 - Focused on Korean Soup/Stew Products Targeting the Older Adults -
( Yoon Jungwoo )
DOI 10.18555/kicpd.2024.76.002
UCI I410-151-25-02-091390554

식료품 쇼핑 플랫폼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며 고령층이 가진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이 비교적 낯선 환경에서의 구매활동 적응에 도움을 주는 연구가 필요하다. 온라인 매장에는 다양한 타입의 제품 디스플레이 시각화 유형들이 존재하며,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공간이나 시각적 요소는 소비자의 관심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매장의 국/찌개 카테고리 제품의 시각화 유형들에서 인지된 공간감이 고령층의 온라인 매장에 대한 매력과 소비자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고령층의 인지된 공간감, 인지된 스트레스와 불안감, 고령층의 특성에 대한 문헌연구 이후 사례연구로 구성되었다. 리커트 척도 온라인 설문 조사를 위한 8개의 시각 이미지가 제작 되었으며, 패키지 유형과 음식 및 패키지 유형으로 분류 되었고, 세부적으로는 시각적 중심이 있거나 시각적 중심이 없는 구성, 또한 공간감의 넓고 좁음으로 분류되었다. SPSS22.0과 Process Macro4.0을 활용한 인과관계 검증을 통한 실증 분석 후 ANOVA를 통해 시각화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인지된 공간감과 인지된 스트레스 혹은 불안감은 온라인 매장의 매력과 온라인 매장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지각된 공간감에 따른 효율적인 패키지와 음식 및 패키지 디스플레이 타입들을 제안한다.

As the focus of food and grocery shopping platforms changes to online markets, older adults need support in adapting to the relatively unfamiliar environment despite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ile diverse types of product display visualization types exist in online point of sales, previous studies have stated how spacious an area or a visual influences the attention and attitude of the view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perceived spaciousness in the Korean soup/stew category product visualization types in online markets may influence older adults towards the attractiveness of the market, and to the attitude toward the online vendor.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comprise a literature study on the perceived spaciousness,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and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followed by a case study. Eight visual stimulants for a Likert scale online survey have been generated, they were divided into package types and food and package types and sub-categorized into more spacious or less spacious arrangements that were composed either with or without visual dominance in objects. Empirical analysis with verification of causal relationship using SPSS22.0 and Process Macro4.0. was processed, followed by ANOVA to analyze differences by visualization type.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perceived spaciousness and perceived stress or anxiety influence the attractiveness of the online market and attitude toward the online market, and the study proposes spacious visualization types for both packages and food and package types.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Case Study
4. Study Method
5. Test
6. Empirical Analysis
7.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