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184
3.141.2.184
close menu
KCI 등재
키치(kitsch) 개념에서 본 대중문화와 대중의 소비 - A. 몰르의 『키치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
Popular culture and the popular consumption under the concept of kitsch - focused on A. Moles’Psychology of Kitsch -
박성준 ( Sung Jun Park )
인문학연구 134권 107-133(27pages)
DOI 10.46346/tjhs.134..5
UCI I410-151-25-02-091387842

본고는 키치에 주목하여, 대중문화와 대중의 소비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한다. 키치는 1960년대 팝아트와 함께 재조명 받은 용어로,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다. 키치는 질이 떨어지는 예술 작품, 복제되어진 양산품이라는 의미에서 예술성과 관련이 깊다. 그러나 본고는 대중문화와 키치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대중들이 문화콘텐츠를 소비하고 사물을 소비하는 것이 자신의 일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점에 주목 한다. 특히 본고는 사회심리학자 아브라함 몰르의 연구를 중심으로 키치가 ‘키치적인 것’과 다른 ‘하나의 현상’이자 ‘존재’에 대한 문제로 다루고 있다. 소유를 통해 대중들은 자신의 실존적 문제를 해소하려고 한다. 대중들은 소유와 소비를 통해 유지되는 ‘세계’를 의심하지 않고 키치를 받아들이는 양태를 보인다. 다시 말해 키치라는 현상은 ‘질적으로 떨어지는 무언가’를 소비하는 것만을 뜻하지 않고, 사물을 소비하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 방식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밑바탕에는 이 ‘세계(그 세계의 체제)’에 대한 ‘절대적인 긍정’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한 자기 긍정이 밑바탕이 되어 있어야 자신이 소유하고 축적하는 것들이 ‘의미’로써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대중문화를 대중이 ‘세계’를 긍정하기 위한 끊임없는 ‘소비’의 과정으로 이해한다.

This paper focuses on kitsch and attempts to deal with popular culture and popular consumption. Kitsch is a term that came into the spotlight with pop art in the 1960s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today. Kitsch is closely related to artistry in the sense that it is a low-quality work of art or a mass-produced product that has been copied. However,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opular culture and kitsch,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opular’s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 and objects is a way to maintain their daily lif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earch of social psychologist Abraham Molles. and this paper deals with kitsch as a ‘phenomenon’ and a question of ‘existence’. Through ownership, the public tries to solve their existential problems. The public shows a tendency to accept kitsch without questioning the ‘world’ maintained through ownership and consumption. In other words, the phenomenon of kitsch does not just mean consuming ‘something of low quality,’ but also means revealing one’s way of existence through the act of consuming things. And at the foundation of this lies an absolute affirmation of this ‘world (the world’s system)’. This is because such self-affirmation must be the foundation for the things one owns and accumulates to be guaranteed as ‘meaning.’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looks at the public’s ownership and consumption for affirmation of the world as popular culture.

1. 들어가는 말
2. 대중문화와 키치
3. 대중의 일상성과 키치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