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교육부가 시행하고 있는 대학혁신을 위한 융합교육의 취지와 주안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프랑스학이 사회 변화의 요구에 부응하여 ‘미래의 융합인재양성’과 ‘학문의 본질’을 동시에 추구해 나갈 수 있는 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의 대학혁신과 융합전공이 과연 미래융합인재 양성이라는 취지에 맞게 접근하고 있는가, 고른 지식의 융합을 위함인가, 현실적으로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최적의 취업생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되어가고 있지는 않는가 등 현재의 융합전공 전개방향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융합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며, 2010년대 초반부터 대두되어 온 융합교육 중 특히 대학에서 시행되어야 할 융합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다음으로, 대학에 융합교육의 도입을 위해 고등교육정책이 변화해 온 과정을 정보지능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하여 프랑스학 기반의 융합교육과정을 연구자가 속해 있는 기관의 현재 커리큘럼을 반영하여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정보지능사회의 대학혁신과 융합인재 양성, 학문 다양성을 추구하고 학문의 본질을 영위해야 할 임무를 가지고 있는 대학의 교육에서 프랑스학은 현재 융합교육 방향에 맞추어 어떠한 임무를 수행해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제안하였다.
Cet article vise à cerner précisément la portée et les points essentiels de l’éducation convergente, actuellement promue par le ministère de l’Education pour inciter à l’innovation universitaire. L’objectif de notre étude est de proposer une piste pour le développement d’un curriculum convergent fondé sur les études répondant aux défis posés par les évolutions sociales. Il est nécessaire d’examiner le véritable axe d’approche des réformes universitaires actuelles, afin de constater si elles visent une convergence équilibrée. Pour ce faire, il est primordial de comprendre d’abord le concept de la convergence dans notre société, et de réfléchir particulièrement à la signification d’un enseignement/apprentissage convergent qui doit être mise en oeuvre à l’université, une idée qui gagne de l’ampleur depuis le début des années 2010. Ensuite, nous examinons l’évolution des politiques éducatives de l’enseignement supérieur en ce qui concerne l’adoption d’un enseignement convergent. Sur cette base, nous proposons un programme éducatif intégré autour des études françaises. Pour conclure, nous discuterons du rôle que les études françaises devraient jouer dans l’enseignement universitaire, un rôle ayant pour mission de stimuler l’innovation académique et de propouvoir la diversité des disciplines, tout en gardant en vue son objectif prem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