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특수교사 경력에 따른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대처 및 교사의 지원요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approaches to managing aggress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ong with support demands
신윤희 ( Shin Yoon Hee ) , 한경인 ( Han Kyung In ) , 박경옥 ( Park Kyoung Ock ) , 윤주연 ( Yoon Ju Yeon ) , 오정숙 ( Oh Jung Sook ) , 박남수 ( Park Nam Soo )
DOI 10.35361/KJID.26.1.7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 소진정도와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 및 중재를 위한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라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와 중재를 위한 지원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웹(Web)을 활용하여 D와 U광역시 그리고 K도에 재직하는 특수교사 388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사 경력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서 각 그룹마다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공격행동 대처,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 대처와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그룹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경력의 교사집단에서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에 따라 중재시급성과 중재적용정도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몇몇 교사집단에서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에 따라 중재효과성이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사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 중재를 위한 교사의 지원요구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소진경험정도와 공격행동 대처, 교사의 지원요구의 상관관계와 교사 경력에 따른 공격행동 대처와 교사의 지원요구의 차이를 논의하였다. 또한 향후 특수교사의 교육 경력에 맞는 적절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upport demands for managing and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upport demands for managing and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3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web.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rgency of intervention and the degree of inter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in the all teacher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 some teacher groups and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ir responses to aggressive behavior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need for support for aggressive behavio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managing aggressive behavior, and support demand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