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교사 행위주체성’에서 ‘교사-너머-행위성’으로
From “Teacher Agency” to “More-Than-Teacher Agency”
엄수정 ( Sujung Um )
DOI 10.15708/KSCS.42.1.2

본 연구는 교사를 원자적 행위자로 상정하고 교사 행위주체성을 개념화하는 방식 자체에 문제를 제기한다. 교사의 행위주체성 논의에 있어 기본 단위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는 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교사 행위주체성’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교사-너머-행위성’을 제시한다. Barad의 행위성 개념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한 후, 그것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육과정 실천 사례에서 행위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관계적 역동으로서의 행위성, 교사의 의도 넘어 존재하는 행위성, 공간-시간-물질화 가능성의 재구성으로서의 행위성 차원에서 해당 사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행위성을 이분법적이고 개체주의적이며 인간중심적인 방식을 넘어 개념화하기 위해서 ‘교사-너머-행위성’ 개념을 제안한다. 교사-너머-행위성이란, 교사를 포함한 여러 (비)인간 행위자들이 상호생성적인 관계를 맺으며 만들어내는 역동 속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교육 현상에 있어 비연속적이고 비확정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바꾸는 개념이다. 교사-너머-행위성 개념은 교사 개인의 주체성에서 교사가 관계 맺는 수많은 (비)인간 행위자들의 역동으로 초점을 이동시킨다. 본 연구는 변화에 대한 개인적 접근에서 관계적 접근으로의 이동이 어떠한 가능성을 열 수 있는지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trouble” the ways in which teacher agency is conceptualiz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are bounded individual agents. I critique practices that consider individual teachers as focal units in understanding and conceptualizing teacher agency. Instead, I propose the new concept of “more-than-teacher agenc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informed by Barad’s agential realism. First, I offer a brief introductory account of Barad’s agential realism and examine three aspects of her notion of agency. Then, I analyze a specific case of curricular and pedagogical practices based on Barad’s agential realist account of agency: a) agency as relational dynamics, b) agency as “more-than” teacher intention, and c) agency as re-configurings of possibilities of space-time-mattering. The proposed notion of “more-than-teacher agency” pertains to what emerges from the dynamics created by intra-actions of various more-than-human actors, including teachers, and how it reconfigures the possibilities of discontinuous and indeterminate changes in educational phenomena. This concept shifts focus from teacher subjectivity to the relational dynamics of numerous more-than-human agents. I discuss the possibilities this new concept could open up.

Ⅰ. 서론
Ⅱ. Barad와 행위성의 (재)형상화
Ⅲ. 교육과정 실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위성
Ⅳ. 교사-너머-행위성을 향해
후 주
참고문헌(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