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6.91.245
18.216.91.245
close menu
}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에 관한 인지행동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elf-Perception of a Female College Student with Bipolar Disorder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강보람 ( Kang Bo-ram ) , 박성혜 ( Park Sung-hae )
DOI 10.54071/APS.3.2.4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 미술치료를 통해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의 과정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과다한 목표 지향 활동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과 관계 망상적 사고로 대인관계에서의 갈등을 겪으며 반복되는 우울과 무기력을 호소하고 있는 21세 여대생이다. 연구는 2023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4회 진행되었다. 측정 도구는 집-나무-사람(HTP) 검사이고 각 회기의 활동내용과 변화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미술치료는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 과정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인지행동 미술치료는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조증과 우울증 그리고 대인관계에서의 관계 망상적 사고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양극성 장애 여대생의 자기 인식 과정과 조증, 우울, 관계 망상적 사고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self-perception in a female college student with bipolar disorder, facilitated through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The participant is a 21-years-old college student who wa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during her senior year of high school. She reported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hyper-goal-oriented activities induced by her manic episodes and experienced conflic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paranoid delusional thinking, along with recurrent episodes of depression and letharg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23, with sessions occurring once a week for 60 minutes totaling 14 sessions. The House-Tree-Person(HTP) test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and the activities and changes of each session were docu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was a positive change for the self-perception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 with bipolar disorder. Second,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positively influenced the reduction of manic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paranoid delusional think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confirmed that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is effective in the self-perception precess and the reduction of manic and depressive episodes in a female college student with bipolar disorder.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