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현대 서울말의 변화와 표준어의 대응
Changes in Present Seoul Korean and Language Standardization
유필재 ( Yoo Pil-jae )
국어학회 2024.03
국어학(國語學) vol. 109 271-297(27pages)
DOI 10.15811/jkl.2024..109.009

이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어의 공통어로 쓰이는 현대 서울말의 변화를 음운과 문법으로 나누어 그 대략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변화 때문에 표준어 규정에 변화가 생긴 경우에는 규정 변화의 내용을 설명하였다. 현대 서울말은 7개의 單母音으로 이루어진 단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음장에 의한 대립은 사라지고 있다. 비어두 위치에서는 ‘오 > 우’ 변화가 현저한데 어휘 형태소들은 변화를 겪은 형태가 표준어가 되었지만 문법 형태소들은 그렇지 않다. 서울말에서 어간 모음이 ‘아’ 일 때는 모음어미 ‘-어’를 취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고 ㅂ불규칙용언에서는 이 변화가 표준어 규정에도 반영되었다. 16세기부터 확인되는 어두 경음화는 현재 서울말에서도 계속 진행 중이다. 체언 어간말 자음 체계는 자음군은 단자음으로, 격음은 평음으로 변화하여 단순화 하고 있다. 이 중 치조음과 경구개음이 ‘ㅅ’로 바뀌는 변화는 이미 18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현재는 격음들이 이 변화를 겪고 있다. 대명사의 형태 변화도 확인된다. 불규칙 용언 어간들도 변화를 겪었다. ㄷ불규칙용언은 현재는 적은 수만이 남아 있다. ㅂ불규칙용언은 ‘ㅂ’가 완전히 탈락하는 변화도 확인된다. ‘르’불규칙용언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용언 ‘ㄹ’ 어간은 이전 시기와는 달리 자음 어간과 같은 교체를 보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용언 ‘위’ 어간 활용형의 축약, ‘하다’ 용언의 축약에서 일어난 변화는 표준어에 반영되어 있지 않다. 어미 중에는 ‘-느냐/-으냐 > -냐∼-으냐, -는가/-은가 > -나’의 변화와 의문형 어미 ‘-니∼-으니’의 변화가 확인된다. 피동사에 ‘-아/어지다’를 다시 결합시켜 피동(태)의 기능을 하는 형태가 중첩되는 듯한 변화가 현대 서울말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The Seoul dialect is now recognized throughout South Korea as the common language. What follows outlines some of changes in Seoul dialect. Vowels have changed in a number of ways and we have 7 monophthongs(i, E, ɨ, Λ, a, u, o) now. Vowel length was lost. Occurrences of the -a allomorph now alternate with, or are being replaced by, -ə. The reinforcement of plain obstruents are still common. Morphophonemic variety at the end of nouns is being leveled. Some irregular verbs fell together with regular ones. The inflection of the verbs which have stem final ‘r’ has been altered. The interrogative endings -neunya and -neunga, which come after verb stems, changed in form to -nya and -na. The auxiliary construction composed of the -ə/-a plus the verb ci- sometimes even attatches to passive verb. The standard language of Korean is defined as “Contemporary Seoul Korean generally used by educated people.” Some changes in present Seoul Korean were reflected in this standard language since 1989.

1. 서론
2. 음운
3. 문법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