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도의 주요 관광지별 COVID-19 전후 관광객 유동인구 변화 추세를 공간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관광객 유동인구 패턴 변화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제주도의 성산읍과 안덕면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기간은 COVID-19 발생전 1년과 발생후 2년으로 설정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하여 이동통신 유동인구 데이터를 정제 및 가공하여 유동인구 분포와 유동인구 증감 데이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공간데이터화 하여 주요 관광지의 위치데이터와 중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내 관광지와 소규모 시설은 COVID-19 직후 유동인구가 감소하였으며, 개방된 해안지역 또는 대규모 시설의 경우 유동인구 감소가 적거나 오히려 유동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관광개발에서 관광시설 특성에 따른 유동인구의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관광지 개발시 팬데믹과 같은 위험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관광시설 및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 of changes in tourist floating popul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in major tourist destinations in Jeju Island through spatial analysis. Seongsan-eup and Andeok-myeon in Jeju Island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and the research period was set at 1 year before and 2 years after the COVID-19 outbreak. For the analysis, mobile floating population data was refined and processed to calculate floating population distribution and floating population increase/decrease data. This was converted into spatial data and an overla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location data of major tourist attra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ating population of indoor tourist attractions and small facilitie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COVID-19, and that in open coastal areas or large facilities, the floating population decreased less or actually increased. In conclusion, in tourism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hanges in floating pop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ourism facilities and strategies that can respond to risk situations such as pandemics when developing tourist desti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