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상수와 하수를 중심으로 공연장 무대용어의 문화적 의미를 살펴본다. 상수, 하수는 외부로부터 차용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연장 무대용어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상수는 객석에서 봤을 때 무대 오른편을 의미하며, 하수는 무대 왼쪽을 뜻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표기하는 사례들이 적지 않은데 이는 명백히 관점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상수, 하수가 현장의 연출 용어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무대 위의 특정 구역이나 경계, 방향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역, 극의 종류, 무대의 상황에 따라 언제든 그 의미가 전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명확하지 않다. 즉 상수, 하수를 특정구역이나 경계가 명확한 개념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실제로 영미를 비롯한 서구권에서는 관련 용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상수, 하수에 관한 기존의 관점은 무대영역의 일부 지점 또는 영역을 중시하는 풍조가 반영되어 있다. 무대진행의 관점에서 특정구역의 비중을 강조하는 논의는 현장의 구조적 특성에 매몰되어 지칭된다는 점에서 본질적 한계를 내포한다. 무대방향이나 특정구역에 집중된 기존의 해석은 무대공간에 대한 전통적, 위계적 사고에 기반한 것으로 공연장과 무대에 대한 감상자의 사고를 제한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경계해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관련 용어가 호명되는 과정의 상호작용이 공연장 전반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일본에 의해 타자화된 용어 상수, 하수는 이제 입체적인 관점에서 재해석되어야 한다. 무대전반에서 나타나는 양식적 혼종성의 상황 하에 상수, 하수의 함의는 기존의 무비판적 차용에서 벗어나 다룰 필요가 있다. 본 논의를 통해 현장의 실무적 시사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공연장 현장에 병기하거나 조선시대 전통적 무대양식 용어를 시용(試用)해 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무대용어가 감상자에게 공유되고 전달되는 지점들에 집중하여 논의의 확장을 유도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ater stage terminology, with a focus on the concepts of stage left and stage right. Typically in Korea, ‘stage left’ refers to the right side of the stage when viewed from the audience, while ‘stage right’ signifies the left side of the stage. However, there are not infrequent cases where these designations are reversed, clearly stemming from differences in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adapting ‘stage left’ and ‘stage right’ as terms in stage direction, they can be used to signify specific areas, boundaries, and directions on the stage. However, as evidenced by various cases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not always clear, as the meaning can change anytime depending on the region, type of performance, and the situation on the stage. In other words, defining ‘stage left’ and ‘stage right’ as specific areas or boundaries with clarity is difficult. Indeed, in the Western world, including the Anglophone regions, these terms have been expressed diversely.
The conventional perspectives on ‘stage left’ and ‘stage right’ reflect a tendency to emphasize certain points or areas within the stage area. The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specific areas in stage progression is often constrained by the venu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inherent limitations.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whether on stage direction or specific areas, stem from a conventional, hierarchical mindset about the stage space. It is important to be cautious, as such interpretations may limit the audience's perception of the theater and stage. Such discussions imply that the interaction within the process of naming relevant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overall context of the theater.
The terms ‘上手’ and ‘下手’, standardized by Japan, should now be reinterpreted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Given the diverse forms and situations across the performance stage, these terms need to be addressed beyond the confines of the conventional non-crit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discussion, practical insights can also be considered. It is possible to display terms used in various countries or to use traditional Korean stage terminology from the Joseon Dynasty in theaters. This study has encouraged an extension of the discussion by focusing on the points where such stage terminology is shared and conveyed to the aud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