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갑상샘 신티그래피 영상 획득 시 평행다공형 조준기를 적용해보고 각 영상획득 조건에서 바늘구멍형 조준기와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갑상샘 팬텀과 점 선원을 이용하여 육안상 크기와 해상력, 민감도,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평가 하였다. 육안상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평행다공형 조준기 적용 시 약 2.00~2.09배 정도의 확대율을 적용해야 바늘구멍형 조준기를 적용 했을 때와 비슷한 크기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점 선원을 이용한 FWHM(㎜)측정에서는 경향성이 보이지 않았고 민감도는 평행다공형 조준기에서 높은 값이 나타났다. SNR, CNR은 낮은 확대율, Matrix Size 128×128, 평행다공형 조준기를 사용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육안상 크기가 비슷한 영상에서는 Matrix Size가 같을 때 바늘구멍형 조준기에서 SNR, CNR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갑상샘 신티그래피 검사시행 시 각 병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건을 설정하여 평행다공형 조준기를 적용한다면 장비 활용 측면과 업무 효율적인 측면에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hen acquisition thyroid scintigraphy images, a parallel hole collimator was applie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pinhole collimator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nder each image acquisition condition. Visual size, resolution, sensitivity, signal to noise ratio (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 (CNR) were evaluated using thyroid phantom and point source. When comparing visual size, it was confirmed that an image similar to the size of the pinhole collimator could be obtained only when a magnification ratio of about 2.00 to 2.09 times when applying a parallel hole collimator. There was no tendency in FWHM(mm) measurement using a point source, and sensitivity was high in the parallel hole collimator. SNR and CNR were high when using a low magnification ratio, matrix size of 128×128, and a parallel hole collimator. In images of similar size to the naked eye, when the matrix size was the same, both SNR and CNR were high in the pinhole collimator. Therefore, when performing a thyroid scintigraphy test, if appropriate conditions are se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hospital and a parallel hole collimator is applied, it can be a good option in terms of equipment utilization and work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