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LLM(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음성과 텍스트 인터랙션을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크패턴 연구는 텍스트와 같은 시각적 인터페이스 위주로 진행되어 다른 인터페이스에서의 다크패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화형 인터페이스 내 인터랙션 유형에 따른 다크패턴의 인식과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인터랙션 유형과 다크패턴 포함 여부가 악의성, 유용성, 신뢰감, 지속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2X2 집단 내 설계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으며, 각 종속변인에 대한 설문조사와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인터랙션 유형과 다크패턴 포함 여부는 악의성과 유용성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으며, 둘은 반대의 경향성을 보였다. 악의성의 경우, 다크패턴이 포함되어 있을 때 텍스트 인터랙션보다 음성 인터랙션일때 더 높은 악의성을 보였다. 반면 유용성의 경우, 다크패턴이 포함되어 있을 때 음성 인터랙션보다 텍스트 인터랙션에서 더 높은 유용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 인터페이스의 다크패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연구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음성 인터페이스의 다크패턴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연구해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른 다크패턴에 대한 인식과 사용자 경험에 대한 차이를 비교 및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s LLM-based AI technology advances, conversational interfaces are evolving into services that provide voice and text interaction together. However, most of the dark pattern research is centered on visual interfaces such as text,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ark patterns in voice interfa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dark patterns in interactive interfaces by interaction type and their impact on user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whether the type of interaction and inclusion of dark patterns in conversational AI affects perceived maliciousness, usability, trust,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using 2X2 within-group design with surveys and post-interviews for each dependent variable, and a conversational AI prototype.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ype of interaction and the inclusion of dark patterns had interactive effects on maliciousness and usability, with the two tending to be opposite. For maliciousness, voice interactions were more malicious than chat interactions when dark patterns were included. For usability, the inclusion of dark patterns resulted in higher usability for chat interactions than for voice interaction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unlike previous studies on user experience with dark patterns in visual interfaces, this study examined user experience with dark pattern design in auditory interfaces to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user experience with dark patterns based on interface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