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중국 영화 산업화 배경에서의 판타지 장르의 변화―우얼산 감독의 작품을 예로 들어보자
The Style Changes of Fantasy Themes under the Background of Chinese Film Industrialization: Taking Director Ulsan's Works as an Example
왕스멍 ( Wang Simeng )
영화교육연구 18권 1호 115-146(32pages)
UCI I410-151-25-02-091364572

중국어 영화 장르의 판타지 영화는 중국 영화 주제 범주 내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개념으로 여겨지며, 중국 영화학계는 아직 판타지 영화의 정의, 주요 내용, 예술적 스타일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 이러한 초기 단계의 판타지 장르 시장을 바탕으로, 중화권 영화인들은 중국 토착의 특색을 지닌 판타지 영화의 영토를 개척해 가고 있다. 젊은 감독 우얼산은 중소 예산의 창작에서 출발하여 "개성과 기준, 판타지와 현실"의 뚜렷한 개인 스타일로, 가장 열정적인 업계 열정과 가장 합리적인 산업 생산 사고를 통해 중국 타입 영화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우얼산 감독의 세 편의 서로 다른 시기와 형태를 지닌 동일장르의 대표적인 판타지 영화 <화피2>, <신룡결>, <봉신: 조창풍운>을 스타일 텍스트로 분석하여 이론적 지도 아래 실천을 모색함으로써, 글로벌 영화 산업화의 맥락에서 중국 관객에게 적합하고 나아가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판타지 영화의 스타일 패러다임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후속 중국 판타지 장르 영화 창작자들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창작 아이디어와 이론적 연구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Fantasy film is a novel genre concept in Chinese film genre. The definition, main content and artistic style of fantasy film are still under discussion in Chinese film circles. Based on the early market foundation of such a fantasy genre, Chinese filmmakers went to explore the fantasy film territory which belongs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China. Wu Ershan, a young director, has started a new chapter in Chinese films with his unique style of "personality and standard, fantasy and reality" and his most enthusiastic and rational industrial production thinking. This paper analyzes Urshan's three representative fantasy films, "Painting Skin 2", "Finding the Dragon" and "Feng Shen: Chaoge Fengyun", as style texts,theory guides practice, In order to explore a fantasy film style paradigm suitable for Chinese audiences and even to the world in the context of global film industrialization, It provides more detailed and novel creative ideas and theoretical references for the creators of Chinese fantasy films.

1. 서론
2. 판타지를 소재로 한 영화 속 우르선 감독의 스타일
3. 동방 마법 로맨스 영화 <화피2> 스타일 분석
4. 판타지 어드벤처 미스터리 영화 <신룡결>의 스타일 분석
5. 동방 신화 서사 영화 <봉신: 조가풍운>의 스타일 분석
6. 결론
7. 참고문헌
8. 국문초록
9. Abstra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