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저출산·고령화 내용 분석 -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중학교 사회 지리 영역의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nalysis of Social Studies Geography Section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양병일 ( Byung Il Yang )
UCI I410-151-25-02-09135892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저출산·고령화 내용을 분석해 교과서 제작과 관련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와 관련해 2015 및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다양한 영역에 나타난 정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지리 영역의 내용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저출산과 고령화가 교과서에 설명될 때는 가치 중립적으로 서술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저출산과 고령화의 정의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저출산을 정의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합계출산율과 시간적 비교의 관점이고, 고령화를 정의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와 현상의 지속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extbook produ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finitions in various areas, and the content of the geography section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relation to low birth rate and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 are explained in textbooks, they need to be described in a value-neutral manner. Second, definition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need to be presented. The key elements for defining low birth rate are the total fertility rate and the perspective of temporal comparison, and the key elements for defining aging are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persistence of the phenomenon.

Ⅰ. 서 론
Ⅱ.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저출산·고령화 교육의 내용
Ⅲ. 저출산·고령화를 다루는 사회 과목 지리 영역의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관점
Ⅳ. 중학교 사회 교과서로 본 저출산·고령화 교육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