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준비금 감소와 배당
Decrease of Reserves and Dividends
명노광 ( Nohkwang Myung )
연세법현논총 2권 1호 79-106(28pages)
UCI I410-151-25-02-091358627

주주는 주주총회를 통해 배당금을 받거나 감자대금을 받는 형식으로 회사재산을 가져갈 수 있지만, 회사의 채권자는 이러한 회사재산의 유출에 관한 의사결정에 직접 관여할 수 없으므로, 회사 채권자 보호를 위해서는 주주에 의한 회사재산의 유출에 대한 법적 통제가 필요하다. 그중 하나가 바로 배당가능이익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법은 순자산에서 자본금과 자본준비금은 물론 이익준비금까지 공제하는 보수적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배당가능이익 산정기준 중 자본기준을 따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 상법상의 준비금 제도는 채권자에게 담보로 제공되는 것을 통해 회사 채권자들을 두텁게 보호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상법은 회사에게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을 자본준비금으로 적립하게 하고, 자본금의 2분의 1이 될 때까지 결산기 이익배당액의 10분의 1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할 의무를 부여하면서, 위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을 자본금의 결손 보전에 충당하는 경우 외에는 처분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회사들의 적립금 규모가 과도하게 높아 준비금의 운용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다는 문제 지적에 따라 2011년 상법이 개정되어, 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 주주총회 결의로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회사가 그 감액된 금액을 배당 재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자, 채권자 보호 기능이 상당히 약화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게 되었다. 따라서 위 상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배당가능이익 확보를 목적으로 준비금 감소를 할 때는 애초 준비금 제도의 본래 목적을 고려하여 채권자 보호라는 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준비금 감소 및 배당과 관련된 세 가지 쟁점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미처분결손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준비금 감소가 가능한지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준비금을 감소시키는 것은 채권자 보호에 반하므로 준비금에서 결손금을 차감한 잔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 절차상 번거로움만 발생하고, 결손금을 먼저 공제하지 않고 준비금 감소를 하더라도, 감액된 준비금을 결손 보전에 충당하고 남는 금액을 미처리이익잉여금으로 계상하면 채권자 보호에 특별히 문제가 생긴다고 할 수 없으므로, 결손금 공제를 준비금 감소의 요건으로 삼을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결손금 공제 불요설). 두 번째는 감소 대상 준비금의 기준 시점을 언제로 할 것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결의 시점의 자본금 및 준비금을 계산하여 준비금 감소를 하면 된다는 ‘감소 시점 기준설’과 정기주주총회에서 직전 결산기의 재무제표를 승인함으로써 확정된 준비금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는 ‘직전 사업연도 기준설’이 대립하는데, ‘감소 시점 기준설’을 따를 경우 영업연도 중간에는 결손 규모를 알기 어려워, 실질적으로 결손이 존재하더라도 감액된 준비금만큼 전부 배당 재원이 되어 채권자 보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직전 사업연도 기준설’이 채권자 보호 관점에 더 부합한다고 보았다. 마지막 세 번째 쟁점은, 준비금 감소에 관한 상법 제461조의2의 입법취지에도 불구하고, 상법 제462조 제1항 제2호의 해석상 과연 준비금 감소 즉시 이를 배당 재원으로 사용할 수 있겠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에 관하여 필자는 상법이 ‘그 결산기까지 적립된’ 법정준비금의 합계액을 순자산액에서 공제하도록 한 것은 주주의 이익 실현보다 채권자 보호에 더 가치를 두고 있는 입법자의 결단이라고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정기주주총회에서 준비금 감소를 결의하고 이와 동시에 이를 반영하여 증가된 배당가능이익에 대해서 배당을 결의하는 것은 상법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보았다(즉시 배당 불가설).

Shareholders can take the company's property in the form of receiving dividends or capital reduction payments through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However, since the company's creditors cannot direct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on the outflow of such company property, legal controls over the outflow of company property by shareholders is necessary to protect the company's creditors. One of that controls is to limit dividendable profits. Korean Commercial Act adopts a conservative method of deducting capital and the capital reserves as well as the earned surplus reserves from net assets, which can be evaluated as following the capital standard among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dividendable profits. The reserve system under the Commercial Act aims to protect corporate creditors thickly by providing them as collateral. Accordingly, the Commercial Act requires a company shall accumulate surplus arises from capital transactions as its capital reserves; accumulate at least 10 percent of the cash dividend in each period for the settlement of accounts as its earned surplus reserve until its reserve reaches half of the company's capital; and not be disposed of statutory reserve except in recovery of a deficit in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nagement of reserves was too rigid due to the excessively high size of reserves of Korean companies.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mercial Act was revised in 2011, allowing the company to decrease of the capital reserves and the earned surplus reserves by a resolution at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f the total sum of the capital reserve and the earned surplus reserve accumulated exceeds 1.5 times the capital of a company, within the limit of such excess. However, when the company could use the decreased amount as a dividend resource, criticism arose that the creditor protection function was significantly weakened. Therefore, despite the revision of the above Commercial Act, when decreasing reserve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dividendable profits, the value of creditor protection should be not damaged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purpose of the reserve system. In this paper, three issues related to decrease of reserves and dividends were examin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irst issue concerns whether it is possible to decrease reserves even if there is an unappropriated deficit. In this regard,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balance after deducting the deficit from the reserve should exceed 1.5 times the capital because it is contrary to the protection of creditors to decrease the reserve even if there is an unappropriated deficit. However even if the reserve is decreased without deducting the deficit, the remaining amount can be recorded as outstanding retained earnings after the decreased reserve is used in recovery of a deficit, so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with the protection of creditors. In addition, following the above opinion will only cause procedural inconvenience, so I don't think it is necessary to use the deficit deduction as a requirement for decreasing reserves. The second issue is when to set the base point for reserves subject to decrease. There are two views here; the first view is that the reserve can be decreased by calculating the capital and reserves at the time of the resolution; the second view is that the regular meeting of shareholders should be based on the fixed reserves by approv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f the previous settlement period. However, if following the first view, even if there is a defici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ize of the deficit in the middle of the business year, and all the decreased reserves will eventually be dividend resources, which may cause problems in protecting creditors. Therefore, the second view seems to be a position that is more consistent with the creditor protection perspective. The last third issue is whether, despite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461-2 of the Commercial Act on Decrease of Reserves, it can be used as a dividend resource immediately after the Decrease of Reserves under Article 462 (1) 2 of the Commercial Act. In this regard, the Commercial Act clearly stipulates that the total amount of the capital reserve and the earned surplus reserve “accumulated until the pertinent period for the settlement of accounts of the company” should be deducted from the net assets, which can be seen as more valuable to creditor protection than the realization of shareholders' interests. Therefore, I think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is in violation of the Commercial Act to resolve the decrease of reserves at the regular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nd at the same time to determine dividends for increased dividendable profits.

Ⅰ. 서론
Ⅱ. 배당가능이익
Ⅲ. 준비금 제도
Ⅳ. 배당가능이익 확보 목적의 준비금 감소에 관한 몇 가지 문제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