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ICD-11 도박장애 진단기준을 바탕으로 국내 청소년의 도박문제 수준을 평가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ICD-11 도박장애의 3가지 진단기준을 바탕으로 기초문항을 구성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12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했다. 이후, 온라인 패널을 통해 도박 경험이 있는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10개의 최종문항을 선정하고, 도박 경험이 있는 청소년 7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했다.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는 ICD-11의 3가지 진단준거에 따른 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인터넷 도박행동 빈도, 한국판 청소년 도박중독 진단 척도(K-DSM-IV-MR-J)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내적합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 결과 안정적인 신뢰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문제군’선별을 위한 ROC곡선 분석 결과, 산출된 기준점(10점)의 진단정확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ICD-11 진단준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청소년 도박문제 선별도구가 청소년의 도박문제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assess the level of gambling problem among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ICD-11 diagnostic criteria for gambling disorder. For this purpose, 12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content validation after constructing basic items based on the three ICD-11 diagnostic criteria for gambling disorder. The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adolescents with gambling experience through an online panel to select 10 final items, and a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700 adolescents with gambling experience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veloped scale was confirmed to have an appropriate structural model according to the three diagnostic criteria of ICD-11, and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showing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Internet gambling behavior and the Korean version DSM-IV-MR-J,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showed stable reliability. Finally, the ROC curve analysis for screening the "problem group" confirmed that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calculated cut-off point (10 points) was excell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adolescent problem gambling screening scale can reliably and validly assess problem gambling in adolescents. Finally,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