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 사고 성향이 건강정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J도에 소재한 2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76명이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10월부터 2023년 11월에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 사고 성향,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판적 사고 성향(β=.213,p <.001)과 학년(β=.187, p=.004)이 건강정보 이해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 사고 성향, 건강정보 이해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함에 의의가 있으며, 건강정보 이해 능력 증진을 위해 비판적 사고 성향을 강화하는 간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elf-confid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health literacy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6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J province. The study’s data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3 to November 2023,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25.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communication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health literacy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13, p <.001) and grade (β=.187, p=.004)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liter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health literacy in nursing students, suggesting that enhanc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s necessary to improve health literacy in nursing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