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을 예술에 적용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관객 개입의 과잉이 약화시키는 작품의 자율성 문제를 다룬다. 객체지향존재론에서 인간이 사물을 보고 파악하는 구조적 틀은 실재 객체, 실재 성질, 감각 객체, 감각 성질로 이루어진다. 하먼에 의하면 예술의 본령이라 할 수 있는 아름다움은 실재 객체와 감각 성질 사이의 긴장에서 온다. 이 긴장을 생산하는 객체가 바로 관객이다. 이처럼 예술은 작품과 이에 담긴 실재와 성질을 파악하려는 관객 사이의 긴장으로 구성된다. 이 긴장의 원인은 작품에 내재한 은유 때문이다. 하먼은 은유의 구성이 연극성이며, 이 연극성이 예술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주장한다. 연구자는 하먼이 객체지향존재론의 논거로 끌어온 프리드의 연극성에 관한 하먼의 이해를 두 가지 논점을 기반으로 비판한다. 첫째, 프리드는 관객의 개입을 부정하지 않는다. 둘째, 프리드와 하먼의 연극성의 차이는 리터럴리즘과 연극성의 분리 여부에 기인한다. 프리드의 연극성에 대한 하먼의 오해를 기반으로 한 객체지향적 예술론은 ‘관객 객체의 과잉’과 작품의 자율성 약화를 불러온다. 연구자는 오늘날 장르 간 경계가 무너지고, 미술의 가치평가가 관객의 해석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상은 작품의 자율성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켜 하먼이 주장하는 객체의 동등성 및 공생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이러한 현실에서 작품의 자율성을 환기한 프리드의 연극성 논의는 관객과 작품의 공생을 위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 of the autonomy of works of art, which is weakened by excessive audience intervention when applying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Harman applies this theory to art because beauty, which is the essence of art, comes from the tension between real objects and sensory qualities. Art consists of tens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that tries to grasp the reality and nature contained in it. The cause of this tension is the metaphor inherent in the work. Harman argues that the form of metaphor is theatricality, and that this theatricality is a key element of art.
Harman derives his argument from Michael Fried’s theatricality. I argue that Harman overlooked the fact that Fried also does not deny the intervention of the audi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Fried’s and Harman’s theatricality is due to the separation of literalism and theatricality. Harman’s misunderstanding resulted in excessive audience intervention, and therefore has excessively weakened the autonomy of the art. I argue that Harman’s argument harms the equality and symbiosis of objects that he advocates and Fried’s discussion of theatricality, which evokes the autonomy of art, is still valid today for the symbiosis of the audience and the ar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