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 수퍼바이저 실습 체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놀이치료 수퍼바이저 훈련생으로서 개인적으로 경험한 것의 의미를 잘 드러낼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수퍼바이저 훈련을 경험한 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놀이치료 수퍼바이저 훈련생은 수퍼바이저 실습에서 체험한 것은 무엇이며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 가?’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수퍼바이저 훈련 경험의 의미를 ‘역할 혼란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더하는 과거 수퍼비전 경험’,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실감하며 고군분투하는 여정’, ‘자기성찰을 통한 중간자 역할로의 진화’, ‘혼란과 발전의 순환 속에서 발견한 성장의 힘’의 4가지 의미로 도출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수퍼바이저 훈련생 각각의 수퍼바이저 훈련 경험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추후 훈련 과정에서 고려할 점을 제안하여 훈련 체계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play therapy supervisor training experience. As play therapy supervisor trainees,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at can well reveal the meaning of personal experiences was used, and three persons who experienced supervisor training were selected. The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What does the play therapy supervisor trainee experience in supervisor training and what does it mea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he supervisor training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as derived into four meanings: ‘Prior supervision experience adding new meaning within role confusion,’ ‘Journey of grappling with the disparity between ideals and reality,’ ‘Evolution towards the mediator role through self-reflection,’ and ‘Discovery of the power of growth within the cycle of confus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system by proposing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training process later by examining each supervisor training experience in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