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과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4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의 전체 효과크기는 ESr=.529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 중 보호요인 전체의 효과크기는(.541)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보호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상담자 역량 (.582), 상담과정 촉진태도 (.525), 상담자 개인 내적 특성(.512)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 중 위험요인 전체의 효과크기는(-.502)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위험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상담과정 방해태도(-.621), 상담자 개인 내적 특성(-.421)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출판물 형태에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담자 역량 증진을 위한 후속 연구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perform a thorough and systematical analysis of counselor’s factors that are affecting the working alliance during psychotherapy. Firstly,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the working alliance showed a large effect size(.529). Secondly, the effect size of the protective factors(.541) showed a large effect size. Among protective factors, the effect size of counselor’s competence(.582) was in order before attitude during counseling(.525)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 counselor(.512). Thirdly, the effect size of the risk factors among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working alliance(-.502) showed a large effect size. Among risk factors, the effect size of disruptive behavior during counseling(-.621) was in order before counselor’s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421).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the working alliance in psychotherapy. Th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academic advancements and enhance counselors' skills by guiding future research endeav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