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환경복지가 강조되고 있는 시대에서는 조경의 의미가 단순히 도심 내 경관(landscape)을 만드는 개념에서 나아가, 심미적 아름다움, 쾌적한 환경이 제공하는 건강과 안전, 복지증진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도시공원과 지역사회 복지의 관계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 볼 사항은 도시공원을 통해 지역주민 그 중에서도 미래 세대인 아동들의 복지향상에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이 끼치냐는 것이다. 도시 내 쾌적하고 아름다운 공원 조성이 갖는 공공성의 의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동의하지만 이를 학술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생활하는 서울이라는 도심 속에서 도시공원이 갖는 가치와 생태적으로 경관을 조성했을 때에 갖게 되는 아동발달적 지역복지적 의미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연구방법 도시공원과 아동돌봄 시설 중 어린이집이 맞닿아 있는 국내 사례를 심층적으로 사례조사함으로써 향후 개발될 도시공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생태환경적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세평적 사례 선택을 통해 추천된 기관의 종사자들로부터 개별 심층 인터뷰 및 질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사된 녹취록과 취합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한 설문 결과는 텍스트 데이터 마이닝 분석을 통해 워드 클라우드의 형태로 가시화되어 주요 토픽 및 키워드를 통한 의미를 파악하였다. 결과 어린이집 교사들은 도시공원의 환경 조성에 있어 영유아 및 아동들의 신체정신적 건강 뿐 아니라 언어적, 사회적, 수리적 발달을 위해 생태교육과 자연물 체험이 가능하게끔 도시공원이 조성될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 도시공원에 대한 빅데이터나 정부에서 수집된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남지만, 도시공원의 사회적 가치가 지역사회복지 중에서도 아동복지의 질적 향상을 위해 어떻게 상호 간 연계 효과를 지니면 좋을지 방향성을 제안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Purpose In an era where environmental welfare is being emphasized, the meaning of urban park landscaping has expanded beyond the concept of creating a landscape within an urban center to include aesthetic beauty and the promotion of health, safety, and well-being provided by a pleasant environment.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arks and community well-being is whether they actuall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ell-being of local residents, especially the future generation of children. While there is some agreement on the public nature of creating pleasant and beautiful parks in cities, there are still very few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is issue academically.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of urban parks and the child developmental and community welfare implications of ecologically designed landscapes in the urban center of Seoul. Methods Through an in-depth investigation of domestic cases where urban parks and children's centers intersect, we aim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future urban parks and thei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practitioners of the recommended organizations through qualitative case selecti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urvey, collected through transcribed transcript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visualized in the form of a word cloud through text data mining analysis, and the meaning to be emphasized was identified through major topics and keywords. Result The daycare educators emphasized that the planning of urban parks should prioritize the provision of eco-educational and natural opportunities for promoting infants' and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as well as their linguistic, social, and mathematical development. Conclusion This study is limited by the lack of utilization of big data on urban parks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by the government. Nevertheless, it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insights and policy implications on how urban parks' social value can be linked to improving child welfare in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