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긍정적 경험이 대학생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동기 긍정적 경험이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대학생의 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21년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한 1,047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아동기 긍정적 경험은 Benevolent Childhood Experiences Scal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우울증 및 불안의 관계에서 아동기 긍정적 경험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계층적 회귀 분석과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제변수를 통제한 결과,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긍정적 경험이 대학생의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쳤으며, 추가 투입한 아동기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의 상호작용 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아동기 긍정적 경험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기 긍정적 경험이 대학생의 불안과 우울을 예방하는 데 중요 변수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positive childhood experiences(PCEs) moderate the link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s) and depression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used 1,047 data from a conveniently sampled college student nationwide in 2021. PCEs were measured with 10 binary items using the Benevolent Childhood Experiences Scale(range 0 to 10).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cluster analys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Es and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ACEs, PCEs and interaction terms between the two were all found to be related to depression and anxiety. Also, to determine whether PC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Es and depression and anxiety, an interaction term was added along with predictors and control variables, and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PC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ur findings support that PCEs might be crucial to prevent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early adulthood.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research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