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8
216.73.216.138
close menu
KCI 등재
경골 원위부 삼면 골절에서의 컴퓨터 단층촬영상 골단판 골절 간격 측정을 통한 골막 포착 여부 및 관혈적 정복 필요성의 예측
Triplane Fracture Management: Prediction of Periosteal Entrapment and the Need for Open Reduction by Measurements of the Physeal Fracture Gap in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Scans
이대희 ( Dae Hee Lee ) , 권주한 ( Joo Han Kwon ) , 정재욱 ( Jae Uk Jung )
UCI I410-ECN-151-24-02-08914358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위 경골 삼면 골절에서 수술 전 족관절 컴퓨터 단층촬영에서의 골단판 골절 간격을 측정하여 관혈적 정복이 필요한 골막 포착 유무를 예측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원위 경골 삼면 골절에 대해 내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인구학적 자료로는 나이, 체질량지수, 과거력 등이 포함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수술 전 족관절 전후방, 격자상(mortise view), 측방 단순 방사선 촬영 및 족관절 컴퓨터 단층촬영을 분석하였다. 수술 전 족관절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관상면, 시상면에서의 골단판 골절 간격 중 더 큰 간격을 측정하였다. 수술 후 족관절 전후방, 격자상, 측방 단순 방사선 촬영에서 수술 후 골단판 골절 간격을 측정하였으며, 골단판 간격이 2 mm 미만으로 측정될 때 적절한 정복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총 17예 중 3예에서 도수 정복 및 내고정술로 적절한 정복을 얻었으며, 나머지 14예에서 관혈적 정복이 이루어졌고, 골막 포착이 관찰되었다. 도수 정복을 시행한 3예에서 측정한 골단판 골절 간격의 평균은 2.4±0.2 mm (범위 2.1-2.5 mm)로 3 mm 이하로 측정되었다. 또한, 관혈적 정복을 시행한 14예에서 측정한 골단판 골절 간격의 평균은 5.0±2.7 mm (범위 3.1-12.2 mm)로 3 mm 초과로 측정되었다. 도수 정복을 시행한 군에서의 수술 전 골단판 골절 간격이 관혈적 정복을 시행한 군의 골단판 골절 간격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1). 총 17예에서 수술 후 골단판 골절 간격은 평균 1.0±0.5 mm로 2 mm 미만의 만족스러운 정복이 확인되었다(도수 정복을 시행한 군: 평균 0.5±0.2 mm; 관혈적 정복을 시행한 군: 평균 1.1±0.5 mm). 결론: 원위 경골 삼면 골절에서 수술 전 족관절 컴퓨터 단층촬영에서의 골단판 골절 간격이 3 mm 이상으로 측정될 때, 골절 간격 내 골막 포착이 되어있을 가능성이 높아 관혈적 정복술이 고려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measured the physeal fracture gap on preoperative ankle computed tomography (CT) to predict the periosteal entrapment that requires an open reduction in distal tibia tripla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ho had undergone internal fixation for a triplane fracture from April 2004 to September 2022. The demographic data, including age, body mass index, and past medical history, were analyzed. In the radiographic evaluations, ankle CT and ankle simple radiographs, including anteroposterior (AP), lateral, and mortise views, were taken preoperatively. Postoperatively, simple ankle radiographs were obtained periodically, including AP, mortise, and lateral views. The physeal fracture gap was measured on ankle CT, and the larger gap between the coronal and sagittal view of CT was selected. The residual physeal gap <2 mm was considered an adequate reduction. Results: Of 17 cases, three demonstrated successful reduction using closed reduction techniques. Periosteal entrapment was observed in 14 cases open reduction cases. In all three closed reduction cases, the physeal gap estimated on preoperative ankle CT was under 3 mm with a mean gap of 2.4±0.2 mm (range, 2.1-2.5 mm). In the remaining 14 open reduction cases, the measured physeal gap was over 3 mm, averaging 5.0±2.7 mm (range, 3.1-12.2 m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operative physeal gap between the two groups (p<0.01). Overall, good reduction was achieved in all 17 cases; the postoperative physeal gap was under 2 mm with a mean of 1.0±0.5 mm (closed reduction group, 0.5±0.2 mm; open reduction group, 1.1±0.5 mm). Conclusion: Open reduction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riplane fractures with a physeal fracture gap of 3 mm or more in preoperative ankle CT,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n entrapped periosteum in the fracture gap.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요 약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