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그레마스의 기호학을 통해 영화 <헤어질 결심>(2022)의 서사 구조와 의미 생성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현대인의 비극적인 사랑이 재현되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헤어질 결심>은 인간의 충족될 수 없는 욕망을 대립적인 구도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를 위한 분석 도구로 그레마스 기호학의 ‘기호 사각형’과 ‘행동자 모델’을 이용하여 영화 텍스트가 제시하는 이항 대립적 요소 이면에 자리한 심층적 의미의 구조를 도식화할 것이다.
<헤어질 결심은> 크게 1부와 2부로 구성되는 텍스트이다. 먼저 텍스트의 표층 수준에서 비선형적 계열체의 요소인 행동자 모델을 구성해 보면, 1부에서는 서래와 해준이 욕망하는 대상이 각각 ‘자유’와 ‘정당성’이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2부에서는 동일하게 ‘사랑’을 욕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랑’을 대상으로 인식하고 추구하게 만드는 발신자가 다르고, 사랑의 세부적인 내용이 달리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서래는 능동적 여성이자 전체 서사의 발신자임이 드러난다. 다음으로 영화의 핵심 의소인 ‘사랑’과 그 대립항으로서 ‘의심’을 통해 <헤어질 결심>의 기호 사각형을 구성하고 의미 행로를 따라 전개되는 서사의 양상을 확인한다. 1부는 ‘사랑’ → ‘비사랑’ → ‘의심’, 2부는 ‘의심’ → ‘비의심’ → ‘사랑’의 행로에 따라 이행된다. 이어서 산과 바다라는 공간의 기호를 통해 산과 같은 해준, 바다와 같은 서래가 어긋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추적하는 한편, 이들이 마지막으로 공유하는 장소이지만 합일될 수 없는 환상의 장소로서 분재(盆栽)적 해변의 의미를 도출한다.
이러한 작업의 1차적인 결과물은 기존의 연구들이 서술로서 제시했던 <헤어질 결심>의 이분법적 대립 양상의 도식일 것이다. 나아가 여성 서사를 다루는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시대에 부응하여 가부장제 사회와 남성 권력에 대해 가장 여유를 갖고 대처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과 사랑을 개척함에 있어서도 적극적이고, 뚜렷한 계획을 갖고 움직인다는 점에서 그 주체성이 가장 부각되는 인물로서 ‘서래’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믿음이 부재하는 시대에 사랑하는 이와의 맺어짐 대신 기꺼이 ‘헤어짐’을 택하는 현대인의 사랑이 지닌 비극성이 영화에서 구현되는 양상을 읽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modern people's tragic love is reproduced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generative trajectory process of Decision to Leave(2022) through Greimas' semiotics. Decision to Leave embodies human beings' unfulfilled desires in a confrontational structure. Greimas' semiotics' 'semiotic square' and 'actantial model' is going to be used for analyze to diagram the deep structure of meaning behind the binary oppo sitional elements presented in the film text.
Decision to Leave is a text composed of parts 1 and 2. First of all, to structuralize actantial model on the surface semio-narrative structure, the difference is shown that Seorae and Hae-joon's desires were 'freedom' and 'legitimacy' in Part 1, but in Part 2, it is possible to verify thay they have desired for ‘love’ at the end. the objects of s, respectively, but in In the end, I can confirm that he desires ‘love’. However, the sender who recognizes and pursues ‘love’ as an object is different, and the details of love appear differently. In this process, Seorae is revealed to be an active woman and the sender of the entire narrative. Subsequently the semiotic square of Decision to Leave is constructed through ‘love’, the core seme of the film, and its opposite, ‘doubt’, and the aspect of the narrative that develops along the path of meaning is confirmed. Part 1 follows the path of ‘love’ → ‘nonlove’→ ‘doubt’, and part 2 follows the path of ‘doubt’ → ‘non-doubt’→ ‘love’. Following that, through the spatial symbols of mountain and sea, to trace the reason why the mountain-like Haejun and the sea-like Seorae were bound to be misaligned, and finally, it derive the meaning of the bonsai beach as a fantasy place that they share but cannot unite together.
The primary outcome of this work will be a diagram of the dichotomous transformation of Decision to Leave. Moreover, as the demand for public culture content of women's narratives increases, Seorae is a character that responds to a society. Seorae not only copes with patriarchal society and male power with the greatest ease but is also active in pioneering her own life and love. And because she moves with a definite plan, her independence is most emphasized. In an age where faith is absent, the love of modern people who gladly choose to ‘break up’ rather than connect with their loved one is tragic. The work of this article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is tragic love is embodied in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