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문학 수용에서의 핵심적인 수행 과정이라 할 수 있는 ‘감상’이 어떻게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지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정의적 영역에서의 문학 수용에 해당하는 감상의 핵심은 내면화 과정에 있으며, 이때 내면화란 문학 작품을 독자 자신의 삶에 비추어 보아 자기 삶과의 연관성 속에서 수용하는 과정이다. 이는 해석학적 과제로서의 ‘적용’ 개념과 상통하는 것으로, 가다머는 작품 수용의 궁극적인 목적이 독자의 삶과 연결된 질문을 바탕으로 한적용으로서의 이해에 있다고 보았다. 감상은 해석의 결과로서의 작품의 의미를 독자 자신의 상황에, 그리고 스스로 대답하기 원하는 물음에 적용하는 것을 뜻한다. 독자는 문학 작품을 자기 삶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기 이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감상의 본질에 부합한 교육 내용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 차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대시를 감상하게 하는 과제를 부과하였다. 과제는 학습 독자 스스로 자신의 개별적인 상황 및 처지와 연결되는 질문을 생성하게 하여 그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서술하게 하였다. 이러한 감상은 작품에 대한 밀도 있는 이해를 위한 해석의 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제출한 결과에서 독자들이 자기 질문 생성을 통한 감상의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자기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문학 감상 교육 내용의 구체화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the core stage of ‘appreciation’, which can be considered a key stage in the process of literary reception, can be concretized as educational content. The essence of appreciation corresponding to literary reception in the affective domain lies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At this point, internaliz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accepting literary works in relation to one’s own life and its relevanc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application’ as an interpretive task,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literary reception lies in understanding based on questions connected to the reader’s life. Therefore, appreciation means applying the meaning of a work as a result of interpretation to one’s own situation and questions that one wants to answer oneself. Through the process of applying literary works to one’s own life, readers can continuously renew their self-understanding.
In an attempt to explore educational content that is in line with the essence of appreciation, students were assigned a task to appreciate contemporary poetry. The task was designed to describe how students should generate questions that are connected to their individual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and answer those questions themselves. This appreciation was organically linked to the interpretive process for a dense understanding of the work. From the results of the submitted appreciations, it was confirmed that readers could reach meaningful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process of appreciating by generating their own question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cretizing educational content in connection with appre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