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21세기를 맞아 빅 데이터(Big Data),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정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공간 데이터화와 공간 인식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공공건물, 공공도서관에서는 비상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대피에 관한 공간의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은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에는 세계 최다수의 공공도서관이 존재하지만 대피구조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어 소방안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해 길 찾기 행동 이론에 기반 한 중국 공공 도서관의 공간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건설 시기에 따른 비교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과 길 찾기의 용이성에 대한 시기별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중국공공 도서관에 대한 중국1급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광둥성(廣東省), 장쑤성(江蘇省), 상하이시(上海市) 세 지역의 동관(東莞)도서관, 금릉(金陵)도서관, 난징(南京)도서관, 동대(東台)도서관 및 상하이(上海)도서관동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공간 구문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DepthMapX와 VGA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 대해 SPSS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길찾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라는 길 찾기 용이성의 요소는 공공도서관의 공간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순서로 사례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 지어진 공공도서관의 경우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도서관에 비해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에 있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길 찾기가 더욱 용이해진 것을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정 기능을 가진 공간인 어린이, 장애인용 대출실, 종합 서비스 데스크가 위치한 1층 공간은 구조의 명료도와 시각적 접근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공공 전자 열람실, 자습실, 도서, 잡지 대여구역 및 업무 사무실 등 상대적으로 고정된 기능을 가진 공간은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공간 데이터화에 대응하여 공공도서관 공간의 데이터 특성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술로 인해 변화하는 설계 방법에 대하여 정량화된 공공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또한, 공공도서관 공간에서 길 찾기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공공도서관 설계 요소로 적용될 수 있는 핵심적 요소를 파악하여 길 찾기 용이성에 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의미 있는 시도는 향후 데이터화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공공건물의 길찾기 용이성 설계에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Since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profoundly impacted the domains of spatial digitization and spatial cognition.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public buildings and libraries, wher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in emergency evacuations play a critical role. Although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libraries in the world, their evacuation structures'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reflected, leading to fire safety issu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of Chinese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lens of Space Syntax theory, based on the principles of wayfinding behavior. Moreover, by comparing libraries from different construction period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patial functionality and wayfinding convenience of public libraries over time. (Method)The study organized the concepts of relevant variables and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and prior research. Furthermore, based on the standards of first-class libraries in China, Dongguan Library in Guangdong Province, Jinling Library, Nanjing Library, Dongtai Library, and Shanghai Librar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Space Syntax analysis. The data obtained through DepthMapX and VGA method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vealing the impact of spatial structure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on wayfinding behavior in public libraries. (Results)The elements of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as ease-of-wayfinding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spaces. Analysis of cases over time showed that public libraries built after 2010, compared to those built before 2010,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This suggests easier wayfinding and enhanced spatial understanding. Spaces with specific functions such as children's areas, disabled loan rooms, and comprehensive service desks on the ground floor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However, spaces with relatively fixed functions like public e-reading rooms, study areas, book and magazine lending zones, and offic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se aspects. (Conclusion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spatial digitization by capturing the data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spaces and providing quantitative public space data for design methods influenced by data technology. Additionally, to enhance wayfinding convenience in public library spaces, it aims to identify core elements applicable as design factors in public libraries and proposes guidelines for wayfinding convenience. This meaningful attempt is hop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future data-driven design support in public building wayfinding conven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