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2020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에 따른 우울과 인지의 차이를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시한 2020년도 노인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0069명의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차자료 분석(secondary data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노인 우울 간이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K; GDS-K)를 시행하였고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별로 우울과 인지기능의 현황을 확인한 결과 정신사회단체에 참가하지 않았을 때 우울이 가장 높고 인지기능이 가장 낮았다. 사회참여 항목별 사회참여 여부에 따른 우울 및 인지기능 차이에서 학습활동과 정치사회단체를 제외한 친목 단체, 동호회, 여행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노인에게 사회참여의 유형에 따라 우울과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에 따른 중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following study uses data from the “2020 Analysis of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and aims to recognize difference in mood and cognition based on how elderly people participate in society.
Methods : Based on the data from “2020 Analysis of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provid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10069 elderly citizens over the age of 65. In order to spot influences on depression, a Geriatric Depression Scale-K test had been conducted, and a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as used to analyze what could potentially alter cognition.
Results :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how social interactions affected the mood and cognition of elderly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didn’t participate in social groups ha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and cognition decline. Additionally,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d increased mental capacity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social participation.
Conclusion : Social participation plays a big role in older people’s mood and cognition, thus it is essential to facilitate those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