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대혜 『정법안장』의 성격과 특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Dahui-zonggao's Zhengfayancang
김호귀 ( Kim Ho-gui )
동아시아불교문화 60권 181-208(28pages)
DOI 10.21718/EABC.2023.60.06
UCI I410-ECN-151-24-02-089118805

중국선종의 역사에서 당대부터 선종이 발전함에 따라 만당 시대에는 선종오가의 성립과 더불어 선어록의 출현이 크게 부각되었다. 오대를 거쳐 송대에는 선어록에 대한 관심과 권위가 높아졌다. 그 가운데 전등사서는 선종오가에서 법맥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근거가 되었고, 공안집의 유행(流行)은 새로운 수행법으로 묵조선과 간화선의 수행법이 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혜종고의 『정법안장』은 넓게는 중국 선종의 역사에서 선어록의 일환에 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대 전등사서를 비롯한 순수 선어록에서 발췌한 공안을 집대성한 공안집의 부류에 속하는 문헌이다. 『정법안장』은 일정한 원칙이 없이 공안을 수집한 것이다. 그 까닭은 대혜가 자신을 찾아온 납자들을 상대로 근기에 상응한 공안을 들어 제시함으로써 발생한 결과였다. 『정법안장』에는 661개의 공안을 수록하였고, 136개의 공안에 대해서는 대혜 자신의 착어를 붙여두고 있다. 일찍이 대혜는 송대 중기의 일반적인 선풍이었던 공안선 및 문자선에 대하여 깊이 자각함으로써 언설과 문자로 이루어진 공안집에 대하여 한때는 철저하게 부정하여 스승인 원오극근이 편찬했던 『벽암록』을 불살라버렸다. 그러나 대혜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부득이하게 언설과 문자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언설과 문자로 성취된 『정법안장』을 출현시켰다. 『정법안장』에 수록된 공안들은 각기 개개의 납자를 제접하기 위하여 언급된 것을 수집한 결과인 까닭에 모두 특수한 것이기도 하다. 그것은 당대부터 출현한 선어록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했던 까닭에 경전과 선어록 곧 붓다의 말씀과 조사의 말씀에 차이를 두지 않았던 전통에서 가능했다. 이런 점에서 『정법안장』은 단순히 선문헌 가운데 공안집으로서 역할뿐만 아니라 공안선과 문자선을 위한 지침서로서 기능함으로써 송대 선풍에서 도출된 시대적인 결과였다. 대혜는 만년에 공안선과 문자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간화선을 주창함으로써 공안집으로서 『정법안장』의 한계성을 초월하려고 노력했음을 보여주었다.

Dahui-zonggao(大慧宗杲)'s Zhengfayancang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zen-records in the history of Chinese Zen Buddhism. More specifically, Zhengfayancang has the character of a literature that compiles kung-an i.e. public-notice among zen- records. The compiles kung-an refers to the literature that collected kung-an. This is a document of a Zen sect that draws kung-an, which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many zen-records. Dahui-zonggao's Zhengfayancang collected kung-an arbitrarily without any set principles. For example, it was the result of questioning the buddhist monks who came from time to time by presenting kung-an according to their level. Dahui-zonggao presented a total of 661 kung-an in the literature Zhengfayancang. Among them, 136 kung-an were explained with Dahui-zonggao's own opinion on the meaning of kung-an by attaching his own comment. Earlier, Dahui-zonggao greatly denied the middle song dynasty's style of kung-an zen and Letters zen. However, Dahui-zonggao buddhist monkes as a way to edify the inevitable use of words and letters were aware of the inevitable. For this reason, Dahui-zonggao himself eventually needed a compiles kung-an called Zhengfayancang, which consisted of words and letters. As a result, Dahui-zonggao himself had no choice but to affirm the words and letters he had previously denied. So, in the end, Dahui-zonggao came to old age and as a way to overcome kung-an zen and Letters zen, so-called Kanhuachan I.e. Seeks Enlightenment Through the Kung-An(看話禪). The practice of Kanhuachan, which Dahui-zonggao established, has been passed down to the tradition of zen practice to this day.

Ⅰ. 서론
Ⅱ. 선문답과 공안집
Ⅲ. 대혜종고의 『정법안장』
Ⅳ. 『정법안장』선문답의 여운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