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금강 및 낙동강 하구·연안의 블루카본 저장량 공간정보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Blue Carbon Stock Spatial Data in the Estuaries and Coastal Areas of the Geum and Nakdong Rivers
정지애 ( Ji-ae Jung ) , 권봉오 ( Bong-oh Kwon ) , 홍현정 ( Hyun-jung Hong ) , 안종호 ( Jong-ho Ahn ) , 이명진 ( Moung-jin Lee )
UCI I410-ECN-151-24-02-089118510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최근 탄소흡수원으로써 블루카본(Blue carbon)이 주목받고 있다. 블루카본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 논의되어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공식 인정되었으며, 국내·외로 신규 블루카본을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국내 블루카본 연구는 연안 습지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갯벌을 중심으로 탄소흡수 및 저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공간정보로 구축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갯벌 탄소 저장량을 활용하여 금강과 낙동강 유역별 위치 및 공간정보로 전환하였다. 또한, 유역별 면적당 탄소 저장량의 대푯값을 산정하여 국내·외 다양한 갯벌 면적의 전체 탄소 저장량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금강 및 낙동강 유역 모두 갯벌 데이터에 따라 탄소 저장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금강 유역은 국립해양조사원(469,810.1 Mg C), 낙동강 유역은 환경부(217,145.01 Mg C) 자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블루카본 공간정보 구축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extreme weather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blue carbon has recently been gaining attention as a carbon sink. Blue carbon has been officially recogniz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s a means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and various studies are underway to discover new blue carbon sourc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omestic blue carbon research is centered on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in tidal flats, which account for most of the coastal wetland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carbon storage of tidal flats from previous studies and converted it into loc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for each basin of the Geumgang and Nakdong rivers. In addition, a proxy value of carbon storage per area by basin was calcula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otal carbon storage of various tidal flats in Korea and abroa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the Geumgang and Nakdong River basins showed different amounts of carbon storage depending on the tidal flats data, with the highest amount in the Geumgang basin coming from the National Ocean Survey (469,810.1 Mg C) and the highest amou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coming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17,145.01 Mg 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 blue carbon spatial information.

1. 서론
2. 연구 지역
3. 연구 방법
4. 연구 자료
5. 연구결과 및 분석
6. 결론 및 토의
사사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