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의 자전적 관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및 과제를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특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개발 과정 및 절차 측면에서 학교급 및 전공 영역 단위의 다양한 조합을 통한 협의회 운영, 다양한 대상 및 방식을 고려한 의견 수렴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서 체제의 변화 측면에서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등 구성항목의 주요 내용 및 특징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발 방향 및 내용 측면에서 학습량 적정화, 초·중등 내용 간 계열성 제고, 현장 적합성 및 학생 맞춤형 교육 강화를 위한 내용 및 과목재구조화,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쟁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개발과정 및 절차 측면에서 대국민 의견 수렴 방식 및 내용의 문제, 연구진과의 협의가 소략된 교육과정 고시 예정본 수정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서 체제 측면에서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형식성 문제, 교육과정 문서 체제 수정 관련 혼란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발방향 및 내용 측면에서 초·중학교 진로연계학기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관련 문제, 초등학교 사회의 역사 영역 단원 배치 문제, 중학교 사회의 학습량 적정화 및 교과서 분권화 문제, 고교학점제 관련 신설 과목 적용에 따른 현장 대비 문제, 핵심 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설정 및 교과 역량 존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상의 주요 쟁점 및 과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식 및 절차 측면에서 교과(각론) 연구진의 입장과 교과의 특성이 존중되는 방식으로 교과 교육과정이 개발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 교육과정 연구 측면에서 차후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유용한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 현장 적용 및 지원 측면에서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와 변화 방향을 고려하여 교사의 수업 실행에 도움이 되는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ssues and task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from the autobiographical perspective of the researcher who participated in research to develop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this end, first,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examin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process and proced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operation of meetings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based on school level and major area units, and the collection of opinions considering various objects and methods were presented. Second, in terms of changes in the document system, the ma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ent items such as the outline of the curriculum design, character and goals,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were presented. Third, in terms of direction and content of development, it was suggested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enhance the sequence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contents, restructure the contents and subjects to strengthen field suitability and customized education for students, and reflect national and social needs to actively respond to social changes.
In addition, the issues and tasks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rocess and proced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blems related to the method of collecting opinions from the public, problems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public opinion, and problems that were revised in the draft curriculum document scheduled to be announced without consultation with the researchers were presented. Second, as regards the document system, the formality of the curriculum document system and the confusion related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document system were put forward. Third, in terms of direction and content of development, issues and tasks surrounding topics such as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for the operation of career-linked semest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lacement of history unit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of learning and the division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field preparation for the application of new subjects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ies, and the retention of the name of subject competencies were introduc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ajor issues and tasks rais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formed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First, on the method and procedure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improvement measures need to be prepared so that the curriculum can be designed in a way that respects the position of the curriculum researc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econd, concerning curriculum research, studies that can provide a valuable basi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need to be conducted. Third, regarding fiel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and support for i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to help teachers implement their classes,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change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