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판 웩슬러 기초학습기능검사(Korean Wechsler Fundamentals: Academic Skills; K-WFA)의 타당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중고생의 3,14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 내용과 구조에 기초한 근거, 특수집단 연구에 기초한 근거, 다른 검사에 기초한 근거에 따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WFA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들의 관련성이 매우 높았고, 구성하는 4가지 소검사와 읽기 조합 점수의 상호상관은 양호하였다. 둘째, 학습종합클리닉센터에 의뢰된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경계선 지적 기능 집단과 일반집단과의 K-WFA 점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가지 집단이 일반규준에 비해 소검사별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셋째, 4가지 타당도 검사와의 상관을 검토한 결과 K-WFA와 4가지 타당도 검사와의 상관이 모두 양호하였다. K-WFA의 타당도가 양호하였기 때문에 K-WFA의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다양한 학습장애 학생들의 진단에 K-WFA가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Korean Wechsler Fundamentals: Academic Skills (K-WFA). Data from 3,147 elementary-, middle-,and high-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to confirm the validity based on the following: test content and structure, special group research, and other tests. First, the contents of the K-WFA and Korea’s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found to be relevant, and the correlation of the K-WFA between four subtests and reading composite scores was good. Second, poor learners (as defined by the Learning Clinic Center) an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groups had significantlyl ower K-WFA scores for each subtest than general groups. Third,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four new validity tests and K-WFA.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is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K-WFA and showed that it can be used in education and in the diagnosis of various learning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