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원격교육 유형에 따른 학습자 경험 비교연구 : 비실시간 원격교육과 OCW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Learners’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Online Learning : Focusing on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and OCW
문은경 ( Moon Eunkyung ) , 신원석 ( Shin Won Sug )
DOI 10.29318/KER.29.4.5
UCI I410-ECN-151-24-02-089091265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대학에서 진행된 원격교육 중, 교수자가 스스로 제작한 비실시간 원격교육과 양질의 컨텐츠로 설계된 OCW 수업의 경험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비교하고, 이후 비실시간 원격교육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바탕으로 원격교육 환경에서 교수실재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학습만족도 및 지속수강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의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비실시간 원격교육 유형을 대학의 비실시간 원격교육과 OCW 수업유형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학에서 정규수업으로 비실시간 원격교육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과 OCW 수강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최종 482명의 설문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서 2단계 접근법에 따라 검증하였고, 비실시간 원격교육 유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 간 경로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의 영향이 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용이성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실시간 원격교육 유형 비교 결과,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만족도가 지속수강의도에 주는 영향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원격교육이 어떤 형태로 발전해 나가야하는 지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asynchronous online learning(the instructor self-created) and OCW classes(instructional designed), the existing representative form of distance learning, during distance learning held at universitie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ose two types of online learning. To this end,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 research model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learning satisfaction, and continued course attendance in the asynchronous learning environment was establish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taking the two types of online learning classes as regular classes at university was conducted. A total of 482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two-step approach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group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asynchronous learning, the larger path coefficient was shown by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but th e less path coefficient was shown by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ceived ease of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continuing course taking.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ypes of online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continuing course t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how online learning whould develop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